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

다른 표기 언어 靑磁 복숭아模樣 硯滴 동의어 청자도형연적
요약 테이블
시대 고려
유형 유물
분야 예술·체육/공예

요약 고려시대의 청자 연적.

개설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8.6㎝.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복숭아 모양을 본떠서 만든 연적으로 상형청자(象形靑磁)의 일종이다.

내용

위 끝이 살짝 꼬부라진 잘 익은 복숭아의 몸통에 잎이 붙은 복숭아 나뭇가지를 뒤쪽에 붙이고, 앞쪽에는 나뭇잎 두 개를 둥글게 맞붙여 물을 따르는 입으로 만들었다. 몸통 뒷면 가운데에 기다란 홈을 내어 복숭아의 모습을 생생하게 살렸으며 엽맥(葉脈)은 가는 음각선으로 처리하였다.

유약(釉藥)은 미세한 기포(氣泡)가 많은 아름다운 비색유(翡色釉)로 복숭아 형태를 따라 얇거나 두껍게 시유되어 있어 자연스럽다. 이런 유약의 짙고 옅음이 더욱 생동감을 주고 있으며 굽다리 없는 편평한 바닥까지 유약이 두껍게 입혀져 있다. 바닥 가운데 안까지 통할 수 있게 작은 구멍이 뚫려 있고, 굵은 규석 조각을 받쳐 구운 흔적이 세 군데 남아 있다.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수법으로 단순한 모양의 복숭아를 실물처럼 만들었고, 잎과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연적에 필요한 부분을 제작한 솜씨가 빼어나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청자연적 가운데 남아있는 사례가 매우 적은 복숭아모양 연적으로 만듦새가 우수할 뿐 아니라, 조선시대 후기에 성행한 백자 복숭아모양 연적의 조형(祖型)이 되는 셈이어서 더욱 흥미로운 작품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 ・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청자 복숭아모양 연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