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청자 구룡형뚜껑 향로

다른 표기 언어 靑磁 龜龍形蓋 香爐 동의어 청자귀룡형삼족향로
요약 테이블
시대 고려
유형 유물
분야 예술·체육/공예

요약 고려시대의 청자 향로.

개설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총 높이 20.4㎝, 향로 높이 10.2㎝, 향로 너비 18.2㎝.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내용

널따란 전이 달리고, 향을 사르는 몸체 위에는 구룡(龜龍)으로 장식된 뚜껑이 덮여 있다. 머리를 쳐들고 앉아 있는 구룡은 거북 모양의 몸에 용 머리를 지닌 신령스런 동물로, 조각이 정교하고 생동감이 넘친다. 얼굴의 갈기와 목의 비늘 등이 가는 음각선으로 자세히 묘사되었고, 등에는 겹선의 귀갑문(龜甲文) 안에 ‘王(왕)’자가 음각되어 있다. 구룡의 눈동자는 철채(鐵彩)로 검게 나타냈다. 코 부분은 수리되었다.

뚜껑은 구룡 외에도 음각선의 여의두(如意頭)무늬와 번개무늬 대를 둘러 장식하였다. 위를 아래보다 약간 좁게 한 원통형의 향로 몸체에는 넓게 벌어진 전이 달렸고, 아래에는 사자머리가 조각된 다리 세 개가 부착되어 있다. 몸체의 전에는 여섯 개의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고 몸체에는 돌아가며 유려한 음각선의 구름무늬가 시문되었다.

향로 전면에는 맑고 깨끗한 비색유(翡色釉)가 얇고 고르게 시유되어 있는데, 구룡 부분의 유색이 좀 더 짙은 벽색(碧色)을 띠고 있다. 뚜껑 내면과 향로의 동체 바닥에 규석 조각을 받쳐 구운 흔적이 있으며, 사자머리형 삼족(三足)의 접지부(接地部)는 유약을 걷어낸 상태이다.

고려를 방문했던 송나라의 서긍(徐兢)은 그의 방문기 『고려도경(高麗圖經)』에 고려 청자향로의 수준이 높았음을 기록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 ・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청자 구룡형뚜껑 향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