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청류벽회화나무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북한 천연기념물 제3호
서식지 평양특별시 중구역 경상동
성격 식물, 나무, 회화나무
유형 동식물
분야 과학/식물
수명 220년

요약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특별시 중구역 경상동에 있는 회화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3호. 회화나무는 모란봉의 청류벽 벼랑 중턱에서 자라고 있다. 회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청류벽이 깎여 생긴 메흙땅이고 대동강 기슭은 모래땅이다.

회화나무는 1790년경부터 자라 왔다고 한다. 나무는 원래 가운데 원대와 뿌리목 부위에서 사방으로 나온 굵은 가지 6개가 자랐다. 그런데 길쪽으로 뻗은 큰가지는 없어지고 5개만 남았는데, 뿌리목 둘레는 1.8m, 1.68m, 1.4m, 1.1m, 1m 등이다.

뿌리는 수직으로 내려 패인 바위틈을 따라 4m 정도 내려오다가 바위 속으로 들어갔다. 줄기처럼 되어버린 뿌리목 직경은 1.3m이고 아래 3m정도 내려와서는 0.6m이다. 청류벽 회화나무는 대동강변의 아름다움과 어울려 풍치를 돋워 주는 풍치수이기에 적극 보호하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청류벽회화나무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