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찬모

다른 표기 언어 饌母
요약 테이블
유형 개념용어
분야 사회/사회구조

요약 반찬 만드는 일을 맡아 하는 직업인. 반빗아치·찬비(饌婢)

내용

예전에 잘사는 양반집에서는 종의 자식을 어려서부터 훈련시켜 찬모로 쓰거나, 벼슬을 못 한 샌님의 아내를 찬모로 고용하였다.

찬모를 만들기 위한 훈련과정은 매우 까다롭고 철저한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채썰기·깍둑썰기 등 썸질을 익히게 하고, 너비아니뜨기·생선다루기 등 칼질하는 훈련도 시킨다. 이와 같은 기본훈련과정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반찬 만드는 법을 훈련시킨다.

그 첫번째가 김치 담그는 훈련으로, 여기에서는 섞박지·나박김치·장김치·깍두기 등 여러 종류를 모두 익히게 한다. 다음으로 토장국·맑은 장국·곰국·생선국 등 각종 국 끓이는 법과 된장찌개·젓국찌개·고추장찌개 등 찌개 끓이는 법도 익히게 한다. 이어서 간장·초고추장·고춧가루 등 여러 가지 양념을 이용한 나물무침, 생선조림·장조림·장포육·장똑또기 등의 조림법, 김구이·너비아니구이·돼지고기구이 등의 구이법, 각종 볶음법도 훈련시킨다.

이 밖에 온면·냉면 등의 국수말이법을 익히게 하고, 고기찜·생선찜·갈비찜 등의 찜과 편육 만드는 법도 훈련시킨다. 또한 정과·약식·다식 등의 한과와 각종 떡 만드는 법도 훈련시킨다.

이상 살핀 여러 음식을 만드는 법 외에도 찬모는 부엌의 책임자인만큼 부엌위생·그릇정리 등에 관해서도 철저하게 훈련시킨다. 한편 찬모의 책임 아래 차려진 밥상은, 찬모가 직접 들고 마루나 방문 앞까지만 가져다 놓으면 그 집의 며느리나 딸이 방으로 가지고 들어간다.

따라서 찬모가 남정네와 마주칠 일은 거의 없는 셈이다. 남녀칠세부동석이니, 남녀유별이니 하는 조선왕조 사회에서 양반인 샌님의 아내가 대가(大家)의 찬모로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만일, 대가(大家)에서 오랫동안 찬모로 일하다가 나오게 될 경우에는 다른 댁에 가서 다시 찬모로 살기도 하고, 굄새를 잘할 경우 이집저집 다니며 숙수(熟手:잔치 때의 음식 만드는 일을 업으로 삼는 사람, 또는 맡아서 일해 주는 사람)가 하는 일을 대신 해주기도 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직업

직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찬모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