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유형 | 유물 |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요약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묘지(墓誌).
내용
197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9.4㎝, 입지름 35.8㎝, 밑지름 13㎝.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유색(釉色)이 청록색에 가까운 분청사기이다. 구연부(口緣部)에 쓰인 명문을 보면 “正統五年庚申十一月一日母女作(정통오년경신십일월일일모녀작)”으로 시작되고 있어서 이 반(盤)의 제작연대가 1440년(세종 22)임을 알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역사적 자료이다. 턱이 비교적 넓은 반으로 명문 내용을 통해 보면 묘지(墓誌)임을 알 수 있다.
턱의 끝부분은 위쪽을 향하여 살짝 올라갔으며 가장자리에는 두 줄의 선을 둘렀다. 반의 가운데 부분은 우묵하고 넓적한데, 그 중앙에 면상감기법(面象嵌技法)으로 백색의 화문(花文)을 그려넣었다. 그 둘레에 두 줄의 원을 만들고 그 원에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세 갈래의 가지가 뻗어나가면서 바닥의 넓적한 부분을 자연스럽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다. 그 사이사이에 물고기 세 마리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었다. 물고기의 윤곽과 비늘 등은 백토(白土)를 감입하여 흰색으로 나타냈고, 눈 부분만 철화안료를 써서 검게 나타냈다.
물고기무늬의 바깥쪽에서부터 구연부의 흑상감(黑象嵌) 명문대(銘文帶)에 이르기까지, 그 사이에는 흰 글씨로 문장을 새겨넣었으나 그 내용을 알아보기는 어렵다.
의의와 평가
반을 묘지로 이용한 경우는 조선 후기에 많이 보이지만, 이 묘지와 같은 초기의 예는 드물다. 이 반의 문양과 유사한 것으로는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 출토 편병조각을 들 수 있어서, 우동리에서 출토된 분청사기 도편들의 제작시기 추정을 뒷받침해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도자사』(강경숙, 일지사, 1989)
- ・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특별전도록』3 분청사기(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4)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분청사기 상감 ‘정통5년’명 어문 반형 묘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