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출생 | 미상 |
사망 | 1425년(세종 7) |
경력 | 호조판서, 대제학 |
유형 | 인물 |
직업 | 문신 |
성별 | 남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해주(海州) |
요약 조선전기 좌찬성, 호조판서, 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순지(順之), 호는 백정(栢亭). 아버지는 판예의사사(判禮儀司事) 정윤규(鄭允珪)이며, 어머니는 대사성 설문우(薛文遇)의 딸이다.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장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83년(우왕 9) 이방원(李芳遠)과 함께 문과에 급제하여 친밀한 사이가 되었다. 좌정언·교주도안렴부사(交州道按廉副使)·사헌부지평·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 등을 역임, 1411년(태종 11)에 한성부윤으로 정조부사(正朝副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서, 다음해 대사헌이 되었다.
1414년 충청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이듬해 예조·형조의 판서를 지내고, 1416년 대제학을 거쳐 호조판서가 되었다. 1419년(세종 1)에 판한성부사·좌찬성, 다음해에 호조판서를 거쳐 대제학이 되었다.
그는 사림의 중망(重望)으로 4조(朝)를 섬기는 데 한결같았고, 내외의 자손 수십명에 복록을 겸비하였으나 더욱 스스로 겸손하였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정도(貞度)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세종실록(世宗實錄)』
- ・ 『국조방목(國朝榜目)』
-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 『청권유집(淸權遺集)』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정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