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
---|---|
성격 | 관청 |
유형 | 제도 |
시행일 | 1919년 9월 11일 |
시행처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분야 | 역사/근대사 |
요약 대한민국 임시정부 때 재무행정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내용
1919년 9월 11일 새 헌법이 공포되면서 정식으로 출범하게 된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각의 한 부서로 조직되었다. 초대 재무총장에는 이시영(李始榮)이 선임되었다. 독립운동을 강력하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재정 문제가 해결되는 게 중요하였다.
그러나 이 기구의 주축은 인구세와 애국성금에 기초하고 있는 실정이었고, 독립운동이 본격화되는 1920년 초부터 애국공채 발행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1922년에는 인구세에 대해서만 논의가 되었는데, 이는 애국성금과 공채 발행에 문제가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된다.
1920년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정방침 가운데, 독립운동중의 예산과 결산은 전적으로 행정부가 담당한다고 천명하였는데, 이는 임시의정원에서 토의할 경우 비밀누설의 위험이 따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임시정부는 재원의 필요 때문에 국민개납(國民皆納)·개업주의(皆業主義)를 제시하였다. 「대한민국 임시헌법」(1919.9.11)의 제7장 재정조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조세를 신과(新果)하거나 세율을 변경할 때는 법률로써 이것을 정함.
1. 현행의 조세는 법률로써 개정한 자 외에는 구례(舊例)에 의하여 징수함.
1. 임시정부의 세입세출(歲入歲出)은 매년 예산을 임시의정원에 제출하여 의결함을 요함.
1. 예산에 초과하거나 예산 외의 지출이 있을 때는 차기 임시의정원의 승인을 요함.
1. 공공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긴급수용이 있을 경우, 임시의정원을 소집하기로 할 때는 임시정부는 재정상 필요한 처분을 위해 제51조에 의함.
1. 결산은 회계검사원이 이를 검사, 확정한 뒤 임시정부는 검사보고와 같이 임시의정원에 제출하여 승인을 요함.
1. 회계검사원의 조직과 직권은 법률로써 이를 정함.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대한민국임시정부사』(이현희, 집문당, 1982)
- ・ 「대한민국임시헌법」(1919. 9.1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재무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