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인천시립합창단

다른 표기 언어 仁川市立合唱團 동의어 Incheon City Chorale
요약 테이블
시대 현대
유형 단체
분야 예술·체육/현대음악

요약 인천시립합창단은 1981년 창단된 인천광역시 산하의 인천 문화 예술 회관 소속의 시립합창단이다. 창단 이후 윤학원, 최훈차, 김종현 등이 상임 지휘자(常任指揮者)로 거쳐간 국내 정상급 합창단이다. 상주 무대인 인천 문화 예술 회관은 물론 아트센터 인천에서도 정기 연주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서울을 비롯한 국내 주요 도시와 해외 무대에서도 활동 중이다.

설립 목적

인천광역시의 외형적 발전에 따라 시민들의 음악에 관한 관심이 깊어지자, 수준 높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합창단을 창단하여 지역 문화를 활성화하고 인천 시민의 정서를 함양하고자 설립되었다.

변천 및 현황

1981년 4월 1일, 인천광역시 산하의 합창단으로 출범하였다. 윤영진, 이경구, 최훈차에 이어 최홍민이 상임 지휘자를 맡았으나 지휘자와 단원 간의 갈등과 분규(紛糾)로 53회 정기 연주회를 끝으로 1995년 4월 18일에 해체되었다가 6개월의 공백기를 거친 후, 1995년 11월에 재창단되었다. 재창단 후 예술 감독(藝術監督) 겸 상임 지휘자로 윤학원을 초빙하여 독특한 색채의 하모니와 독창적 무대 연출로 개성 있는 합창단으로 거듭나 음악 애호가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윤학원은 국내 합창단으로는 드물게 상임 작곡가 제도를 도입하여 한국적 정서와 현대적 감각을 겸비한 창작곡 개발에 앞장섰다.

재창단 후 ‘세계 정상을 향하여’라는 기치(旗幟)를 내걸고 종래의 정적인 연주회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춤과 노래가 어우러진 연주회를 구성하는 등 획기적인 공연 기획과 개성 있고 특성 있는 음악의 개발과 합창곡의 현대화 작업을 통하여 세계적인 합창단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특히 1996년 4월 19일, 인천의 종합 문화 예술 회관과 같은 해 5월 11일, 서울의 예술의 전당(藝術의 殿堂)에서 열린 제54회 재창단 정기 연주회를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써 재기에 성공하였다. 이후 시민들에게 직접 찾아가는 연주회를 통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사함으로써 시민들의 호응을 얻었다.

미국에서 활동하던 김종현이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제7대 예술 감독 겸 상임 지휘자로 재임했다. 그는 인천시립합창단이 지역의 합창 활성화의 주춧돌이 되어야 한다는 자세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합창 도시인 인천 시민들에게 감동 있는 좋은 합창 음악을 제공하고, 인천 지역의 합창 리더들의 재교육을 위한 '합창 지휘 세미나', 지역 아마추어 합창단의 대축제인 '인천 합창 대축제'등을 통하여 지역의 합창 저변(底邊) 확대와 수준 향상에 힘썼다.

1996년 8월에는 서울 예술의 전당과 함께 세계 합창제를 주최하여 합창 도시로서의 인천을 세계에 부각했다. 1997년 7월, 벨기에에서 개최된 세계 합창제와 오스트리아에서 개최된 유러파 칸타트(EUROPA CANTAT)에 초청되어 ‘최상의 완벽함’이라는 평을 받았다. 1999년, 네덜란드에서 열린 세계 합창 심포지엄 초청 연주회와 유럽 순회 연주, 2002년 합창 올림픽의 갈라 콘서트, 2004년 타이완 세계 합창제 초청 연주, 2005년 4월 미국 순회공연은 세계 무대에서 그 실력을 과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2006년 12월에 제야 음악회, 2007년 4월에 일본 순회공연을 개최하였으며, 2008년 10월에는 한국 합창제에 참가하였다. 2009년 8월에는 인천광역시 주최 인천 세계 도시 축전(仁川世界都市祝典) 기념 음악회와 인천 세계 합창제를 개최하였으며, 대외적으로는 세계 합창인들의 꿈의 무대로 알려진 미국 합창 지휘자 총연합회에 정식 초청되었다.

1997년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열린 세계 합창 심포지움에 초대받았으며, 2004년에도 대만 합창제에 초청을 받아 참가했다. 2005년에는 로스앤젤레스(LA), 워싱턴, 필라델피아, 뉴욕 등지에서 미국 순회공연을 열었으며 2006년에는 일본 일본방송협회(NHK) 주최 신년 음악회에 출연했다.

의의 및 평가

정기 연주회와 다양하고 폭넓은 레퍼토리, 꾸준한 음반 작업을 통해 대중성과 음악성을 고루 갖춘 합창단으로 거듭나고 있다. 국내 창작곡 개발에도 남다른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예총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 ・ 전인평, 『한국음악사』 (현대음악출판사, 2000)
  • ・ 한국음악협회, 『한국음악협회40년사』 (수문당, 1985)
  • ・ 인천시립합창단(https://www.incheon.go.kr/art/ART05020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인천시립합창단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