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이희영

다른 표기 언어 李喜英 동의어 추찬(秋餐), 누가(루가쓰)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후기
출생 미상
사망 1801년(순조 1)
유형 인물
관련 사건 신유사옥
직업 화가, 문인화가
대표작 견도, 누각산수도
성별
분야 예술·체육/회화
본관 양성(陽成)

요약 조선후기 「견도」, 「누각산수도」 등을 그린 화가. 문인화가.

내용

본관은 양성(陽成). 자는 추찬(秋餐). 천주교인으로 교명(敎名)은 누가(루가쓰)이다. 진사 소(熽)의 아들이다. 처음에는 여주에서 살았으나 서울로 올라와서 청나라 신부 주문모(周文謨)에게 서학을 배우고 천주교도가 되었다.

예수의 상(像)을 그려 황사영(黃嗣永)에게 보낸 일이 탄로되어 1801년 신유사옥 때 처형되었다고 한다. 그림은 정철조(鄭喆祚)에게 배웠으며, 성화(聖畫) 이외에도 영모화와 산수 등을 즐겨 그렸다.

유작으로 사생풍의 「견도(犬圖)」(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와 「누각산수도」(개인 소장)를 비롯해서 남종화풍의 산수도가 여러 점 전하고 있다. 특히 「견도」에 대해서 오세창(吳世昌)은 서양화법을 이용하여 그린 최초의 작품이라고 평한 바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순조실록(純祖實錄)』
  • ・ 『한국회화사(韓國繪畵史)』(안휘준, 일지사, 1980)
  • ・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 ・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견도 / 이희영


[Daum백과] 이희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