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유형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요약 조선전기 한성판윤, 형조판서, 우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차야(次野), 호는 음애(陰崖) · 몽옹(夢翁) · 계옹(溪翁). 이색(李穡)의 후손으로, 대사간 이예견(李禮堅)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었고, 1504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해 사헌부감찰을 지냈다.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으로 북경에 다녀온 뒤 이조좌랑에 승진했지만, 연산군 난정 아래에서의 관직 생활에 환멸을 느껴 술로 세월을 보내다가 자청해 의성현령으로 나갔다.
1506년 중종반정 후에 발탁되어 홍문관수찬 · 교리 등을 지내다가 1510년(중종 5) 아버지의 상으로 관직을 떠났다. 1513년 복직하여 부교리 · 부응교 · 사간원사간을 역임하고, 이듬 해 어머니의 상으로 사직했다가 1517년부터 홍문관전한 · 직제학을 거쳐 부제학에 승진하였다.
그 후에 좌승지로 옮겼다가 다음 해에 대사헌이 되었다. 이 무렵 조광조(趙光祖) · 김정(金淨) 등의 신진 사류들과 일파를 이루어 도학정치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했으나, 그들의 급진적 개혁 정책을 완화하고자 노력하였다.
1518년 종계변무주청사(宗系辨誣奏請使)의 부사로 북경에 파견되었다. 이 때 정사로 갔던 남곤(南袞)이 병들어 거의 죽게 된 것을 지성으로 간호해 회복하게 했는데, 이 때문에 이자는 기묘사화 후 큰 화를 면할 수 있었다. 1519년 귀국해 한성판윤 · 형조판서 · 우참찬 등에 임명되었다.
이자는 사림파의 한 사람이었으나 성품이 온유하고 교제가 넓어 남곤 · 김안로(金安老) 등의 훈구 세력과도 원만하게 지냈다. 양파의 중간에서 반목과 대립을 해소하고 온건한 정책으로 유도하고자 했으나 급진 사림파의 반발로 실패하였다.
1519년 기묘사화가 일어나 사림파가 참화를 입게 되자 이자도 여기에 연좌되어 파직 · 숙청되었다. 그 뒤 음성 · 충주 등지에 은거하여 세상을 등지고 독서와 시문으로 소일하고, 이연경(李延慶) · 김세필(金世弼) · 이약빙(李若氷) 등과 학문을 토론하며 여생을 마쳤다.
효도와 우애가 돈독했고 학문과 수양에 정력을 기울였다. 많은 사평(史評)을 썼으나 일찍 죽어 정리되지 못하였다. 『주자가례』를 독신했으며 자손들에게 그 실천을 유언하였다. 저서로는 『음애일기』와 시문집인 『음애집』이 있다.
상훈과 추모
『기묘명현록』에 올랐고, 충주의 팔봉서원(八峰書院)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의(文懿)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중종실록(中宗實錄)』
-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이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