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출생 | 미상 |
사망 | 미상 |
경력 | 예조좌랑, 선전관, 평해군수 |
유형 | 인물 |
관련 사건 | 인조반정 |
직업 | 문신 |
성별 | 남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익흥(益興) |
요약 조선후기 예조좌랑, 선전관, 평해군수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익흥(益興). 원주(原州) 출신. 자는 위중(衛仲). 이문보(李文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명상(李鳴商)이다. 아버지는 이약(李約)이며, 어머니는 이희방(李希芳)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0년(선조 33)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1603년 예조좌랑이 되고, 1606년 문관 겸 선전관(文官兼宣傳館)으로 재직 중 문묘(文廟)의 익명서(匿名書) 사건에 연루되어 사헌부와 사간원의 탄핵을 받았다.
평해군수를 역임하고 오랜 기간 창덕궁의 수리에 종사한 공로로 1612년(광해군 4) 5품에서 전례가 없는 당상(堂上)에 올라 통정대부(通政大夫)가 되었다.
1617년 제용감정(濟用監正)이 되어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비 논의에 “어찌 다른 의논이 있겠는가?” 라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이듬해 봉상시정이 되고 1622년(광해군 14)에 필선(弼善), 이듬해 장령이 되었는데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멀리 도망가 자취를 감췄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선조실록(宣祖實錄)』
-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 『인조실록(仁祖實錄)』
- ・ 『국조방목(國朝榜目)』
-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이시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