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이수만

다른 표기 언어 李壽曼 동의어 여로(汝老)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출생 1630년(인조 8)
사망 미상
경력 지평, 정언, 장령, 필선, 성주부사
유형 인물
직업 문신
성별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고성(固城)

요약 조선후기 장령, 필선, 성주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여로(汝老). 이정려(李精瓈)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성길(李成吉)이다. 아버지는 총훈대부 이헌국(李憲國)이며, 어머니는 윤유길(尹有吉)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51년(효종 2) 진사가 되고, 1665년(현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73년 지평·정언 등을 거쳐 이듬해에는 장령·필선에 임명되는 등 삼사(三司)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678년(숙종 4) 성주부사로 부임하였는데, 강상죄인(綱常罪人)을 체포하지 못하고 도망하게 하였다고 하여 파직의 위기를 맞기도 하였다. 그 뒤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벼슬이 삼사의 당상에 이르렀다. 치사 후에는 포천에 거처하였으며 문장으로 명성이 있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현종실록(顯宗實錄)』
  • ・ 『숙종실록(肅宗實錄)』
  • ・ 『국조방목(國朝榜目)』
  • ・ 『사마방목(司馬榜目)』
  • ・ 『포천읍지(抱川邑誌)』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수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