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이경절

다른 표기 언어 李景節 동의어 길보(吉甫)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출생 1571년(선조 4)
사망 1640년(인조 18)
경력 중림도찰방(重林道察訪), 예빈시별좌, 사헌부감찰, 문경현감
유형 인물
관련 사건 병자호란
직업 학자
성별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덕수(德水, 지금의 경기도 개풍)

요약 조선시대 중림도찰방, 사헌부감찰, 문경현감 등을 역임한 학자.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길보(吉甫). 증참찬 이천(李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이원수(李原秀)이다. 아버지는 이우(李瑀)이며, 어머니는 덕산황씨(德山黃氏)로 진사 황기로(黃耆老)의 딸이다. 이이(李珥)의 조카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6년(선조 39)에 진사가 되고, 1615년(광해군 7) 문과 회시에 통과되었으나 과거시험의 공정성에 회의를 품고 전시에 응하지 아니하였다. 서인계열의 인물로 광해군의 폐모론에 반대하여, 향리인 선산군에 돌아가서 야인생활을 하였다. 그 때 동지들과 의논하여 길재(吉再)의 사우(祠宇)를 낙동강 상류지역으로 이전하였다.

인조반정 이후에 황산도찰방으로 임명되어, 인심을 수습하고 황폐되었던 역로(驛路)를 완전히 복구하여 상을 받은 바 있고, 또 중림도찰방(重林道察訪)이 되어 역시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그 뒤 제용감직장(濟用監直長)·예빈시별좌·사헌부감찰을 거쳐 문경현감으로 나가서 치적을 남겼다.

이듬해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향인들을 규합하여 의병을 일으켜 의병장이 되었으며, 문경인들도 이경절을 도와서 그 지역을 잘 지켰다. 그러나 삼전도화약(三田渡和約)의 소식을 전하여듣고, 고향에 돌아가서 관계에는 나오지 않고 학문에만 몰두하였다. 그림과 글씨 및 가야금에 능하였다. 1651년(효종 2)에 좌승지에 추증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송자대전(宋子大全)』
  •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이경절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