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
성격 | 관청 |
유형 | 제도 |
시행일 | 692년(효소왕 1) |
분야 | 역사/고대사 |
요약 통일신라시대의 의학전문기관.
내용
의원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이다. 692년(효소왕 1)에 처음으로 설치하여 학생들을 교수하였는데, 교과목은 본초경(本草經)·갑을경(甲乙經)·소문경(素問經)·침경(針經)·맥경(脈經)·명당경(明堂經)·난경(難經) 등이었다.
소속관원은 박사(博士) 2인이 있어 수업을 관장하였다. 직제·수학연한·학칙 등은 알 수 없다. 한의학·향의학(鄕醫學)을 전공한 의사·약사가 배출되어 의료행위를 하였다. 의술은 재래의 약방문 의술과 중국 전래의 침(鍼)·구(灸)·약방(藥方) 등을 수학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의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