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윤영기

다른 표기 언어 尹泳淇 동의어 경안(京安), 정재(貞齋), 영기(泳琪), 영기(泳祺)
요약 테이블
시대 근대
출생 1880년(고종 17)
사망 미상
경력 건국포장, 애국장
유형 인물
직업 의병장, 독립운동가
성별
분야 역사/근대사
본관 함안(咸安)

요약 대한제국기 전라남도 창평에서 모병하여 의진을 편성한 의병장. 독립운동가.

개설

일명 영기(泳琪, 泳祺).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경안(京安), 호는 정재(貞齋). 전라남도 광산 출신. 윤석준(尹錫峻)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6년 7월에 고광순(高光洵)을 찾아가 전라남도 창평에서 거의하여 호군으로 추천되었다.

병력을 강화하고자 광주에 나와 해산군인 40여명을 모으고, 전라남도의 순천·석곡 등지에서 병력 및 무기를 증강하며 왜적과 싸우면서 광양에 이르렀다. 1907년 구례로 행군하기에 앞서 고광순이 순국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화개를 거쳐 지리산으로 들어갔다.

거기에서 산포수(山砲手) 수백명을 거느리고 함양의 소정(小井)·백모(白毛) 두 산골짜기에 이르러 전력을 강화하며, 60명이 넘는 강화의 해산군인과 합세하였다. 1908년 화개로 진군하다가 의신동에서 접전하여 30여명의 적을 섬멸하였다.

다시 운봉과 함양·엄천에서 적과 격전하였으나 전세가 불리하여 부득이 물러서게 되고 10여년을 숨어 지냈다. 그러다가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광주지역에서 독립만세운동을 하였다.

이듬해에는 서울의 애국지사들과 연락하면서, 광주 등지에서 상해임시정부의 군자금모금활동을 하다가 일본경찰에 잡혀 1921년에 7년형을 선고받았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 ・ 『독립운동사자료집』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 ・ 『독립운동사』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근세/근대

근세/근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윤영기


[Daum백과] 윤영기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