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유동열

다른 표기 언어 柳東說 동의어 춘교(春郊)
요약 테이블
시대 현대
유형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정치·법제/정치

요약 해방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총장, 미군정청 통위부장 등을 역임한 군인. 독립운동가·정치인.

개설

본관은 문화(文化). 평안북도 박천 출신. 호는 춘교(春郊). 아버지는 유종정(柳淙楨)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94년(고종 31) 일본으로 건너가 세이쇼학교(成城學校)를 거쳐 1903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졸업 이후 일본 근위사단에서 실무경험을 쌓고, 1904년 러일전쟁 때 대한제국 파견 무관 자격으로 일본군에 종군하여 선천 부근에서 러시아군과 싸우기도 했다. 서울에 주둔해 있던 일본군 6군사령부에서 근무하다가 대한제국군에 복귀하였다.

대한제국군 무관학교와 유년학교 교관을 지내고, 1905년 군무국으로 전속된 뒤 참령(參領)으로 승진하여 시위대 기병대장과 참모국 제2과장을 지냈다. 1907년 8월 대한제국 군대가 강제 해산되자 지하운동을 시작했다. 이때 안창호(安昌浩) 등이 주도한 신민회의 반일운동에 참여하였으며, 서북학회(西北學會)를 통해 계몽운동도 전개했다.

1911년 소위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1심에서 10년,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1년 6개월 간 복역했다. 1913년 출옥 후 만주로 망명해 주로 길림(吉林) 등지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17년 노령 연해주 쌍성(雙城)에서 문창범(文昌範) 등과 전로한족회(全露韓族會)를 조직했다. 1918년에는 서일(徐一)의 중광단(重光團)에 가입했고, 1919년 2월 김동삼(金東三) · 김좌진(金佐鎭) 등과 「대한독립선언서」의 39인 중 한 명으로 참여했다.

국내외 임시정부 추진세력으로부터 신망이 높아 한성임시정부에서는 참모부총장, 노령 대한국민회의에서는 참모총장,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군무총장(초대)에 각각 임명되었다. 이후에도 노백린(盧伯麟)과 교대로 총장직을 수행했다. 한때 사회주의운동에도 관심을 보였는데, 1921년 이르쿠츠크에서 개최된 고려공산당대회(高麗共産黨大會)에서 중앙위원이 되었고, 1926년 중국 길림(吉林)에서 고려혁명당이 창당될 때 위원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930년 임시정부로 복귀해 국무위원 · 군무부장을 지냈다. 1935년 난징(南京)에서 김규식(金奎植) · 지청천(池靑天) 등과 조선민족혁명당을 조직해 통일전선을 구축했다. 1938년 한국국민당 · 조선혁명당 · 한국독립당의 통합을 추진해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에 임명되었다. 1945년 2월 신한민주당을 창당해 홍진(洪震)과 당을 이끌며 광복에 대비했다.

1945년 광복 후 귀국하여 미군정청 초대 통위부장(統衛部長)을 지냈고, 한국전쟁 때 74세로 납북되었다.

상훈과 추모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압록강변의 겨울 -납북요인들의 삶과 통일의 한』(이태호 저·신경완 증언, 다섯수레, 1991)
  • ・ 『독립유공자공훈록』8(국가보훈처, 1990)
  • ・ 『독립운동사』4(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 ・ 「춘교 유동열의 독립운동과 군사활동」(박종연, 『한국민족운동사연구』52, 200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유동열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