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용의왕후

다른 표기 언어 容懿王后 동의어 여비(麗妃), 창성궁주(昌盛宮主), 현덕궁주(玄德宮主)
요약 테이블
시대 고려
출생 미상
사망 미상
유형 인물
직업 왕비
성별
분야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단주(湍州)

요약 고려전기 제10대 정종의 제2왕비.

개설

성은 한씨(韓氏)이며, 본관은 단주(湍州)이다. 목종 때에 문하시중을 역임하였던 한언공(韓彦恭)의 손녀이며, 정종의 제1비인 용신왕후와 자매간이다. 문하시중에 추증된 한조(韓祚)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언니인 용신왕후가 사망한 뒤인 1038년(정종 4)에 여비(麗妃)로 책봉되고 창성궁주(昌盛宮主)라 칭하다가 뒤에 현덕궁주(玄德宮主)라 하였고, 1040년에 왕후로 봉하여졌다.

귀족가문의 자매가 함께 한 왕의 비가 되는 사례는 고려시대에 드물지 않으며, 정종의 부왕인 현종도 김은부(金殷傅)의 세 자매를 비로 두었다. 정종과의 사이에 애상군(哀殤君) 왕방(王昉)·낙랑후(樂浪侯) 왕경(王璥)·개성후(開城侯) 왕개(王暟) 등 세 왕자를 두었으나 모두 왕위에 오르지는 못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용의왕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