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대/남북국 |
---|---|
저작자 | 최치원 |
창작/발표시기 | 887년 |
성격 | 발원문 |
유형 | 작품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요약 신라시대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발원문.
내용
887년(진성여왕 1) 왕비 김씨가 그의 선고(先考) 및 죽은 형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불국사에 곡식을 보시한다는 내용이다. 『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에 수록되어 있는 이 글은 원래 동국승사비(東國僧史碑)로부터 인용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 글이 과연 최치원에 의하여 쓰여진 것인지에 대하여서는 엇갈린 견해도 있지만, 진찬설(眞撰說)이 유력하며, 『최문창후전집(崔文昌侯全集)』 및 『국역고운선생문집』 등에도 수록되어 있다.
이 발원문은 신라의 왕비가 선고 이찬(夷粲)과 죽은 형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벼 3,000점(苫)을 불국사의 광학침릉(光學寢陵)에 보시하여 학림(學林)을 돕는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광학침릉은 불국사표훈유가원측삼성강원(佛國寺表訓瑜伽圓測三聖講院)을 지칭한 것이다.
특히, 이 글 중의 ‘표훈·유가·원측 삼성’ 운운의 구절은 불국사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9세기 후반 불국사에서 표훈·유가·원측 등이 세 성인으로 숭배되고 있었음으로 미루어 이들과 이 절과의 깊은 관계를 알게 해주기 때문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불국사고금창기』(불국사지, 아세아문화사, 1983)
- ・ 「석불사 및 불국사의 연구」(김상현, 『불교연구』2, 한국불교연구원, 198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왕비김씨봉위선고급망형추도시곡원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