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려 |
---|---|
성격 | 신분 |
유형 | 제도 |
폐지일 | 1423년(세종 5)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요약 후삼국으로부터 고려에 걸쳐 떠돌아다니면서 천업(賤業)에 종사하던 무리.
내용
일명 수척(水尺)·화척(禾尺)·무자리라고도 한다. 고려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할 때 제어하기 어려웠던 유종(遺種)의 후예라고도 하지만 이에 관한 정확한 사료는 없는 편이며, 일반적으로 여진의 포로 또는 귀화인의 후예들이라고 알려져 있다.
변경지대에 주로 많이 살았고 수초(水草)를 따라 떠돌아다니면서 사냥과 유기(柳器 : 고리)를 만들어 파는 것으로 업을 삼았다.
최충헌(崔忠獻)의 집권 때에는 흥화도(興化道)·운중도(雲中道) 등의 양수척에 대한 공물의 과다 징수가 있자 크게 원망하였으며, 거란 유종인 금산왕자(金山王子)·금시왕자(金始王子) 무리가 침입하자 이들의 길잡이 노릇을 하기도 하였다.
또, 1382년(우왕 8)에는 왜구로 가장하여 영해군 동남해안을 침범하여 공해(公廨)와 민가를 불사르는 등 노략질을 하기도 하였다. 이들에 대한 호칭은 1423년(세종 5) 병조의 제의에 따라 백정(白丁)으로 바뀌었으나 그 신분은 여전히 천인으로 존재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고려사(高麗史)』
- ・ 「선초백정고(鮮初白丁考)」(강만길, 『사학연구(史學硏究)』18, 1964)
- ・ 「白丁·水尺·禾尺·楊水尺」(鮎貝房之進, 『雜攷』5, 193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양수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