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안승

다른 표기 언어 安勝 동의어 안순(安舜), 보덕국왕
요약 테이블
시대 고대/삼국
유형 인물/전통 인물
분야 역사/고대사

요약 고구려의 제28대 보장왕의 외손자로, 고구려 멸망 후 검모잠에 의하여 왕으로 추대되었으나, 신라로 망명하여 신라의 귀족이 된 왕족·귀족.

내용

보덕국왕(報德國王) · 안순(安舜)이라고도 한다. 기록에 따라 연정토(淵淨土)의 아들, 또는 보장왕의 서자, 혹은 외손자라고 전한다. 아마도 연정토의 아들로서 보장왕의 외손자였던 것같다.

고구려 멸망 후 서해의 사야도(史冶島)에 피신하여 있었는데, 670년 고구려 부흥운동을 일으킨 검모잠(劒牟岑)에 의하여 추대되어 한성(漢城 : 지금의 황해도 재령 부근)에서 왕으로 즉위하였다. 소형(小兄) 다식(多式)을 신라에 보내어 구원을 요청하여 문무왕은 그를 고구려왕으로 봉하였다.

이어 당군의 압박을 받게 되자, 이에 대처하는 방안을 둘러싸고 검모잠과 대립하게 되어 그를 죽인 뒤 무리를 이끌고 신라로 투항하였다. 신라는 안승 집단을 금마저(金馬渚 :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 안치하였다. 674년(문무왕 14) 보덕국왕에 봉해졌으며 680년에는 문무왕의 질녀를 아내로 맞이하게 되었다.

683년 경주로 초청되어 소판(蘇判)의 관등과 김씨(金氏) 성을 부여받고, 수도에 거주하게 되었다. 그의 근거지인 보덕국과 격리된 채 신라 중앙귀족이 되었다. 보덕국은 684년 그 주민이 반란을 기도하다가 진압되어 소멸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삼국사기(三國史記)』
  • ・ 『구당서(舊唐書)』
  • ・ 『자치통감(資治通鑑)』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안승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