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유형 | 유적 |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요약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불전. 보물.
내용
196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3단의 자연석축으로 형성한 단축(段築) 위에 기단을 놓고 그 위에 세워져 있으며, 내외 3출목 7포작인 다포계 구조형식이다.
기둥은 배흘림 없이 높게 세워지고 활주(活柱 : 추녀 뿌리를 받친 가는 기둥)를 두고 있으며, 평방 위에 배치한 공간포(空間包)는 중앙의 3칸에는 2개씩이고 좌우협간에는 1개씩이다. 공포의 구성은 외부로 앙서[仰舌] 위에 수서[垂舌]와 같은 한대의 뺄목을 두고 있고, 앙서는 짧게 나왔으며, 내부의 살미끝은 교두형(翹頭形 : 圓弧形으로 깎아낸 모양)으로서 비교적 우아하고 오래된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보아지 역시 아름답게 조각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내부에는 우물반자를 짜올렸고, 중앙 뒤측에는 불단을 꾸미고 있으며, 불단 위에는 포집으로 된 3칸닫집을 잘 짜서 그 밑에 용과 연화 등의 조각을 늘여뜨리고 있다. 단청은 화려한 금단청으로 되어 있다.
정면 중 중앙 3칸에는 각각 4분합의 빗살문이 달려 있고, 좌우 협간에는 井자살문의 문이 달렸는데, 중앙 3칸의 빗살문은 궁창판 위에 팔각형의 불발기살창을 가지고 있으며, 창 위 창방 밑에는 교창(交窓 : 낮은 창)을 설치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화재대관』3 보물 1(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 ・ 『한국건축양식론』(정인국, 일지사, 198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하동 쌍계사 대웅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