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쌍계사 나한전

다른 표기 언어 雙磎寺 羅漢殿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후기
유형 유적
분야 예술·체육/건축

요약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에 있는 조선후기 승려 벽암선사가 중창한 사찰건물. 불전.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익공계(翼工系) 맞배지붕건물. 1974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불전은 석가모니불을 주불(主佛)로 모시고 좌우와 주위에 16나한(十六羅漢)을 모셨다. 사찰은 840년(신라 문성왕 2) 진감선사(眞鑑禪師)가 창건하였고, 이 건물은 1641년(인조 19) 벽암선사(碧巖禪師)가 중창하였다. 구조는 3량가이며, 지붕 좌우 측면에 풍판을 달았으며, 내부에는 우물반자를 시설했다.

이 건물은 쌍계사 내의 명부전과 같이 주두(柱頭)와 창방 위에 소로[小累]를 놓고 네모난 주심첨차와 행공첨차를 받게 했다. 익공의 형태는 출목이 있는 2익공 짜임으로 2익공 상부에는 간략한 연화문을 보머리에 끼워 장식하였고, 내부에서는 초익공과 2익공을 맞붙여 운공형태로 조각하였다.

기둥은 배흘림이 거의 없고, 높이가 낮을 뿐 만아니라 다른 부재에 비해 가늘다. 주간(柱間)에는 화반(花盤) 대신 간단한 동자주(童子柱)로 상부의 주심도리와 장여를 받고 있어 소박한 느낌을 준다.

실내의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석가모니불이 모셔진 불단(佛壇) 위쪽의 장엄 장식은 얇고 긴 띠 모양의 판재를 걸치고 휘장 모양의 단청을 베풀었다.

이 건물은 17세기 중엽에 건축된 소규모의 익공계 불전으로 조선 후기 익공계 건축의 법식 연구에 좋은 자료라 하겠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하동 쌍계사 나한전 기록화조사보고서』(하동군, 2020)
  • ・ 『경상남도문화재대관』(경상남도, 1995)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쌍계사 나한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