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유형 | 유적 |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요약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에 있는 조선전기 다포식 팔작지붕의 사찰건물. 당우. 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1칸, 측면 2칸의 다포식(多包式) 팔작지붕건물. 처마는 부연(浮椽: 처마 끝에 덧 얹어진 짤막한 서까래)이 있는 겹처마이고, 내부는 통간(通間)으로 되어 있다.
장대석으로 한벌 쌓은 낮은 기단 위에 주좌(柱坐)를 쇠시리(두 골이 나게 함)한 고격(古格)의 다듬은 초석을 놓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 윗몸은 창방(昌枋)으로 결구하고 그 위에 평방(平枋)을 놓았으며, 공포(栱包)를 기둥 위에는 물론 기둥 사이 평방 위에도 놓아 다포식을 이루고 있다.
공포의 짜임은 외2출목(外二出目)·내2출목(內二出目)으로 살미첨차[山彌檐遮]는 초제공(初諸貢)이나 2제공(二諸貢) 모두에서 그 끝이 앙서[仰舌]로 되어 있고 내부에서는 교두형(翹頭形: 圓弧形으로 깎아낸 모양)으로 되어 있어, 조선 초기의 다포식 수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내부의 바닥은 우물마루이고, 천장은 우물천장이며, 팔작기와지붕을 이루고 있다. 정면에는 여섯짝의 띠살창호를 달고, 양측면과 후면은 모두 벽체로 마감하였는데, 측면의 한칸만은 외짝의 정자살문을 달아 따로 출입구를 만들어놓았다.
건물의 평면에서는 소규모의 건축물인만큼 앞뒷면을 각각 1칸식으로 처리하여 가운데 기둥을 세우지 않았으므로 대들보를 볼 수 없는 것이 이 건물의 특색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화재대관』 3 보물 1(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 ・ 『한국의 미』 13 사원건축(신영훈 감수, 중앙일보사, 1983)
- ・ 『한국건축미』(주남철, 일지사, 198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여주 신륵사 조사당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