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식송정

다른 표기 언어 植松亭
요약 테이블
건립시기 조선 중기
성격 누정
유형 유적
분야 예술·체육/건축

요약 경상북도 경산시 진량읍에 있었던 조선시대 학자 김사총의 정사(精舍)였던 누정.

내용

조선 중기의 학자 김사총(金四聰, 1575~1642)의 정사(精舍)이다. 김사총이 정사 둘레에 많은 소나무를 심어 울창하게 한 뒤 이름을 식송정이라 하면서 자신의 호도 ‘식송’이라고 하였다. 정구(鄭逑)·장현광(張顯光)을 비롯한 선비들이 모여 학문을 강론하던 곳으로, 식송정에 대한 다수의 시(詩)가 조선 중기 문집에 등장하고 있다.

1625년(인조 3)김사총이 사위 김구(金龜)와 더불어 진량 낙산의 사산 아래로 이건하였다. 그 뒤 김시성(金是聲)의 위패를 모시는 남호서원(南湖書院)으로 바뀌었는데,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훼철되었다.

1924년김사총의 10대손 성철이 하양읍 남하리 종가마을에 남호서원의 옛 건물로서 금포서당(錦浦書堂)을 건립하였고, 1938년에 진량읍 신상3동 내곡에 있는 김사총의 묘소 앞에 식송정을 재건하였으나 최근 택지개발로 건물은 헐리고 터만 남아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적

유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식송정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