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성격 | 국악곡, 제례악 |
유형 | 작품 |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요약 현행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 중 아헌(亞獻)과 종헌(終獻)에 연주되는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일곱번째 곡.
내용
일무(佾舞:사람을 가로세로가 같게 여러 줄로 벌여 세워 추게 하는 춤)는 무무(武舞:무(武)를 상징하는 옷을 차려 입고 추는 일무)가 추어지고 헌가(軒架:대례나 제례 때 대청 아래에서 아뢰는 풍악)에서 음악을 아뢴다.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제된 정대업지악의 「지덕(至德)」의 가락과 노랫말을 차용, 축소하여 만들어 세조 때 종묘제례악으로 채택한 곡이다.
세종 때의 원래의 「순응」은 고려음악인 「만전춘(滿殿春)」에서 가락을 따왔는데 현행 정대업지악의 「혁정(赫整)」에 해당한다. 원래 「순응」과 「지덕」의 노랫말은 4언 12구의 한시였으나 현행 「순응」은 4언 5구로 되어 있다.
곡명은 하늘의 도(道)에 순하고 사람의 도에 응하여, 하늘과 사람의 도움을 찬양한다는 뜻에서 나온 것이다. 현재 불리고 있는 노래말의 원문과 우리말 번역은 다음과 같다.
고려의 임금이 충신의 간을 거부하고 감히 난을 일으킨다 하는지라, 우리 태조께서
신성하신 결단을 내리시어 군사를 서울로 회군시키니 하늘과 사람이 함께 협조하도다
(麗主拒諫 敢行稱亂 我運神斷 我師我返 天人協贊).
원래의 남려궁계면조(南呂宮界面調)에서 황종궁계면조(黃鍾宮界面調)로 바뀐 5음 음계의 곡이다. 원래의 「순응」에서는 박(拍)이 정간보(井間譜) 반행(半行)에 해당되는 노래말 매구에 한 번씩 들어가고, 「지덕」에서는 정간보 2행에 해당되는 노래말 매구에 박이 한 번씩 들어갔으나 현행의 「순응」은 불규칙하다.
장단형은 원래의 「순응」이 크게 박 넷으로 이루어지고, 「지덕」은 정간보 1행에 북편 넷으로 이루어진 규칙적인 장단이었으나 현행의 것은 이것 또한 불규칙하다. 종지형은 하일(下一)에서 하오(下五)에 이르는 하행종지형이다.
『세종실록』악보(樂譜)에 원래의 「순응」과 「지덕」의 악보가 전하고, 현행의 것은 『세조실록』악보·『대악후보(大樂後譜)』·『속악원보(俗樂源譜)』·『시용무보(時用舞譜)』 등에 현행 「순응」에 해당되는 곡이 악보로 전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세종실록(世宗實錄)』 樂譜
- ・ 『세조실록(世祖實錄)』 樂譜
- ・ 『대악후보(大樂後譜)』
- ・ 『속악원보(俗樂源譜)』
- ・ 『시용무보(時用舞譜)』
- ・ 『한국음악』2(국립국악원, 198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순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