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서울시합창단

다른 표기 언어 서울市合唱團
요약 테이블
시대 현대
유형 단체
분야 예술·체육/현대음악

요약 서울시합창단은 1978년 세종문화회관이 개관하면서 창단된 서울시 예술단 산하의 합창단이다. 1999년 7월 1일 세종문화회관이 재단법인으로 민영화하면서 서울시립합창단에서 서울시합창단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서울시향은 물론 서울시 예술단 산하 자매 예술단의 공연에 활발히 참가하고 있으며, 자체 정기 연주회를 통해 예술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추구하면서 서울 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설립 목적

합창 음악의 전문성과 예술성을 추구하는 한편 시민의 정서 함양과 문화 창달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다양한 형식과 장르의 연주 활동을 펼쳐 왔으며 올림픽 등 국내외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변천 및 현황

1978년 4월 14일 세종문화회관이 개관하면서 창단하였다. 1973년에 창단된 국립합창단에 이어 국내에서는 두 번째로 출범한 전문 합창단이다. 이후 지방 도시의 시립합창단 창단에도 자극제가 되었다. 1978년 세종문화회관 개관 기념 작품인 오페라 「박쥐」와 제1회 정기 연주회 「사랑의 노래」를 시작으로 매년 정기 연주회와 특별 공연 등을 하고 있다.

창단 이래 105회의 정기 연주회와 110회의 특별 공연, 50여 회의 기획 공연 등을 통해 풍부한 레퍼토리를 선보였다. 청소년을 위한 합창의 이론과 실기를 보여주는 합창 교실의 연주도 20여 회 있었다. 그 외에도 서울음악제, 대한민국음악제, 국립극장 신년 음악회, 예술의 전당 개관 기념 음악회, MBC 가을맞이 가곡의 밤, 정명훈 지휘의 서울시립교향악단 연주회, KBS 송년 음악회 등 1,000여 회의 크고 작은 연주를 해왔다.

빈 슈타츠오퍼와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초청 공연은 물론 국내 오페라단과 40여 편의 오페라를 공연했으며, 특히 1986년 창단된 서울시오페라단의 국내 초연인 「안드레아 셰니에」, 「나부코」, 「라조콘다」 등의 공연에 참가해서 호평을 받은 바 있다. 1991년에는 하이든의 오라토리오 「천지창조」를 음악극 형태로 공연해 화제를 모았다. 서울시오페라단뿐만 아니라 국립오페라단 등의 공연에도 합창단으로 참가했다. 2019년 3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오페라 칸타타 「유관순」을 초연했으며 로시니의 「작은 장엄미사」의 관현악 버전, 브람스의 「여성을 위한 3개의 종교합창」,쿠르트 바일의 「레퀴엠」,푸치니의 「영광의 미사」 등을 국내 초연했다.

초대 상임 지휘자 최흥기가 1978~1996년, 2004~2006년까지 21년간 합창단을 이끌었고 그후 박창훈, 나영수, 최병철, 김수웅, 백효죽, 염진섭, 오세종, 김명엽, 강기성이 역임한 데 이어 2021년부터 박종원이 단장을 맡고 있다. 연간 6회 정도 정기 공연과 특별 공연을 개최하고 있으며, 서울시교향악단 · 서울시뮤지컬단 · 서울시오페라단 등과도 합동 연주를 하였다.

연혁

1989년에는 프랑스, 오스트리아, 스위스 등 유럽 3개국의 13개 도시를 순회 연주하였으며, 1994년 12월에는 이탈리아의 벨레트리와 로마에서 순회 연주를 하여 유럽에 한국의 문화 수준을 알렸다. 2013년과 2015년에는 격년제로 열리는 독일 자를란트 국제 음악제에 참가하여 유럽에 한국의 서울을 알리는 동시에 문화 외교 사절의 역할을 해왔다.

1995년에는 광복 50주년 기념 음악회 및 드보르자크의 「슬픔의 성모」를 연주했으며, 1996년과 1997년에 걸쳐 베르디와 모차르트의 「레퀴엠」, 멘델스존의 「엘리야」 등 깊이 있는 종교곡을 서울시교향악단과의 협연을 대규모로 선보였다.

1998년 4월 17일에는 서울시합창단 출신 역대 단원들과 현 단원들이 함께 창단 20주년 기념 음악회를 마련하여 지난 20년 동안의 오랜 전통과 집약된 음악적 역량을 확인하는 감동적인 무대를 선보였다.

1999년 7월 1일 세종문화회관이 재단법인으로 민영화하면서 서울시립합창단에서 서울시합창단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999년 이후에도 다양한 주제로 매년 5회 내외의 정기 공연을 개최하였다.

2012년에는 시민합창단과 함께 하는 합창 페스티벌을 6회 개최함으로써 서울 시민에게 더욱 가까이 가는 연주 단체로 거듭났으며, 찾아가는 음악회에서는 단원들이 중심이 되어 합창은 물론 중창, 독창 등 다양한 구성의 음악회를 꾸몄다.

의의 및 평가

예술적 차원을 강조하면서도 시민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대중성 있는 레퍼토리도 소화하고 있다. 서울시합창단 창단 이후 부산 · 대구 · 인천 · 대전 · 광주 · 수원 · 안양 · 부천 · 성남 · 안산 · 여수 · 순천 청주 · 천안 · 광양 · 군산 · 전주 · 양산 · 김천 · 경주 · 울산 · 포항 등지에서 시립합창단이 잇따라 창단되어 지역 도시의 시립합창단 창단에 자극제가 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예총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8)
  • ・ 전인평, 『한국음악사』 (현대음악출판사, 2000)
  • ・ 서울시합창단 홈페이지(https://www.sjartgroups.or.kr/sjartgroups/main/contents.do?menuNo=30001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서울시합창단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