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고대/삼국/백제 |
---|---|
경력 | 대좌평 |
유형 | 인물 |
직업 | 관리 |
성별 | 남 |
분야 | 역사/고대사 |
요약 삼국시대 백제의 대좌평을 역임한 관리.
개설
대좌평(大佐平)의 직에까지 올랐다. 백제 후기의 대성팔족(大姓八族)의 하나였던 사택씨(砂宅氏 또는 沙宅氏:沙氏로 약칭되기도 함.) 출신으로서 나지성(奈祗城)을 세력기반으로 하였다. ≪일본서기≫ 고교쿠기(皇極紀) 원년(642) 7월조에 대좌평 지적(智積)이 나오고 있다.
학계에서는 대좌평 지적을 사택지적과 동일인으로 보고 있다. ≪일본서기≫와 사택지적비문(砂宅智積碑文)을 종합해보면 사택지적은 642년(의자왕 2) 도왜(渡倭)하였다가, 백제로 돌아온 뒤, 654년 노재상(老宰相)으로 관직에서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그의 퇴관은 642년 의자왕이 왕권중심의 지배체제를 확립하기 위하여 내좌평(內佐平) 기미(岐味) 등 고명지인(高明之人) 40여명을 섬으로 추방한 정변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즉, 강화된 왕권의 대귀족(對貴族) 통제력에 말미암은 것이다. 사택지적비는 그가 만년에 지난날의 영광과 세월의 덧없음을 한탄하면서 만든 것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삼국사기』
- ・ 『일본서기(日本書紀)』
- ・ 『백제인물고(百濟人名考)』(이홍직, 『서울대학교논문집』1, 1954)
- ・ 「사비시대(泗沘時代) 백제지배체제(百濟支配體制)의 변천(變遷)」(노중국, 『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198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사택지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