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사다함

다른 표기 언어 斯多含
요약 테이블
시대 고대/삼국/신라
출생 미상
사망 미상
경력 귀당비장(貴幢裨將)
유형 인물
직업 화랑
성별
분야 역사/고대사

요약 삼국시대 신라의 귀담비장을 역임한 화랑.

내용

내물왕의 7대손이며, 급찬(級飡) 구리지(仇梨知)의 아들이다. 진골 출신으로 풍채가 청수(淸秀)하고 지기(志氣)가 방정(方正)하였다. 화랑으로 추대되어 1,000여명의 낭도를 거느렸으며, 562년(진흥왕 23) 9월 이사부(異斯夫)가 대가야를 정벌할 때 십오륙세의 어린 나이로 종군을 신청하였다.

귀당비장(貴幢裨將)으로 출정, 기병 5,000을 거느리고 국경선에 있는 적군의 성문인 전단량(旃檀梁)을 기습하여 대가야를 멸망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왕에게서 가야인 포로 300명(혹은 200명)을 노비로 하사받았으나 모두 놓아주었다.

다시 왕으로부터 전지를 하사받았으나 사양하다가 왕이 이를 억지로 권하므로 어쩔 수 없이 알천(閼川)의 불모지만 받았다. 그는 어려서부터 무관랑(武官郎)과 우정을 맺어 사우(死友)를 약속하였는데, 무관랑이 병사하자 7일간을 통곡하다가 17세로 죽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사다함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