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불국사 자하문

다른 표기 언어 佛國寺紫霞門 동의어 자하문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성격 문(門), 사찰문
유형 유적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 불국사(진현동)
분야 예술·체육/건축

요약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조선후기 단층 팔작지붕 형태의 문(門). 사찰문.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팔작지붕건물. 대웅전 앞 중문(中門)으로서 앞에는 국보 제23호인 청운교(靑雲橋)와 백운교(白雲橋)가 있고, 이를 오르면 넓은 석조기단 위에 인 이 문이 세워져 있다.

문의 양옆에는 1973년에 복원한 남회랑(南回廊)이 연결되어 있다. 건물 가운데 달린 판문의 바깥쪽에는 갓기둥의 간격에 맞추어 계단참 형식의 공간을 두었고, 문 안쪽에는 기둥 간격보다 넓게 기단을 마련하여 주춧돌을 놓고 건물을 세웠다.

기둥은 조선 후기식 민흘림 수법으로 처리하였고, 기둥 윗몸에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두르고, 이 위에 안팎 2출목(二出目)인 다포계(多包系)의 공포(栱包)를 짜올렸다. 한편, 기단의 주춧돌·신방석·문지방돌 등은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건립연대는 불분명하지만, 『불국사고금창기(佛國寺古今創記)』에 의하면, 1436년(세종 18)에 중수된 적이 있고,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1628년(인조 6)에 재건하였다.

그 뒤 1630년에 수리를 하고 1708년(숙종 34)에 단청을 하였다고 한다. 또 1966년에 이 건물을 수리할 때 발견한 상량문에 의하면, 1781년(정조 5)에 다시 중건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한국의 사찰』불국사(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4)
  • ・ 『불국사수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7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경주 불국사 청운교와 백운교 및 자하문


[Daum백과] 불국사 자하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