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영광 불갑사 대웅전

다른 표기 언어 靈光 佛甲寺 大雄殿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유형 유적
분야 예술·체육/건축

요약 전라남도 영광군 불갑면 불갑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중수된 사찰건물. 불전. 보물.

내용

198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 잡석을 2단으로 쌓은 기단 위에 원형 주춧돌을 놓고 배흘림을 한 원기둥을 세워 기초를 마련하였다.

창방 위로 평평한 평방을 두르고 포작(包作)을 싸올렸는데, 공포(栱包)는 다포계(多包系)이며 안팎의 출목(出目)이 각각 3출목, 2출목이다. 화려하게 무늬와 조각을 베풀어 조선 후기 불전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정면 3칸에는 칸마다 3짝 꽃살문을 달았고, 동쪽 벽에도 3칸 모두에 문을 달아 출입할 수 있게 꾸몄다. 사전(寺傳)에 의하면, 내부에는 서쪽에 4개의 고주(高柱)를 세우고 여기에 불단(佛壇)을 배풀었는데, 1869년(고종 6)에 지금처럼 건물 중앙으로 불단을 옮겨 남향하도록 배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건물 내부의 서쪽에 불단을 두어 본존불(本尊佛)이 동향(東向)을 하도록 한 예로는 부석사 무량수전을 들 수 있다. 한편, 불갑사 중수권시문(重修勸施文)에 의하면, 불갑사는 785년(원성왕 1)에 중창되었다고 하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정유재란 때에 사역이 폐허로 되었다가 선조·현종·숙종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복원하였다고 한다.

대웅전의 기와 가운데 ‘乾隆二十九年(건륭 29년)’이라고 쓴 것이 발견되어서 이 건물이 1764년(영조 40)에 중수되었으며, 이 때 불갑사 전체가 크게 다시 지어졌다고 여겨진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朝鮮寺刹史料』(朝鮮總督府, 1911)
  • ・ 『문화재도록』(전라남도, 198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영광 불갑사 대웅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