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분청사기 철화 어문 항아리

다른 표기 언어 粉靑沙器 鐵畵 魚文 立壺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유형 유물
분야 예술·체육/공예

요약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항아리.

내용

198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7㎝, 입지름 15㎝, 밑지름 9.8㎝.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이 항아리는 입부분이 넓게 벌어졌으며 어깨 부분에서 서서히 벌어져 몸체 윗부분에 중심이 있고, 다시 서서히 좁아져 작고 나지막한 굽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다. 회청색이 감도는 밝은 유(釉)가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은은한 광택이 있다.

몸체 전면이 귀얄기법으로 백토분장(白土粉粧)된 후 다양한 문양이 시문되었다. 구연부(口緣部) 안쪽에 당초문대(唐草文帶)와 굽다리에 작은 연판문대(蓮瓣文帶)가 백상감(白象嵌)으로 표현되었다. 짙은 철화안료를 사용하여 어깨 부분의 간략한 초문(草文)과 아랫부분의 큼직하고 특이한 연판문을 듬성듬성 그렸다. 몸체 중심에는 사실적으로 묘사된 물고기 두 마리와 연꽃을 인화(印花)·상감(象嵌)·철화(鐵畵) 등의 기법으로 큼직하고 자유롭게 나타내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철화분청사기를 만들던 대표적인 지역인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요지에서 비교적 초기인 15세기 중엽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선된 태토(胎土) 위에 백토(白土)로 분장된 이 항아리는 지금까지 알려진 분청사기 가운데 가장 다양한 장식의장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즉 상감·인화·철화·귀얄 등의 다양한 기법으로 만들어졌을 뿐 아니라 연꽃과 어문(魚文)의 표현이 사실적이고도 대범하여, 뛰어난 분청사기 작품의 하나로 꼽힌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분청사기명품전』(호암미술관, 1993)
  • ・ 『국보』백자·분청사기(정양모 편, 예경산업사, 1984)
  • ・ 『鷄龍山麓陶窯址調査報告』(野守健, 朝鮮總督府, 192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분청사기 철화 어문 항아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