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유형 | 유물 |
분야 | 예술·체육/공예 |
요약 조선시대의 분청사기 장군(물·술 등을 담아 옮길 때 쓰는 그릇).
개설
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1.6㎝, 입지름 5.3㎝, 밑지름 15.3㎝, 길이 34.5㎝.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내용
타원 모양의 몸통의 상부 중앙에 주둥이를 두었다. 옆면의 한쪽은 평행하게 그은 선으로 이루어진 국화꽃 한 송이를 새겨서 마무리하였다. 다른 한쪽은 편평하게 하여 굽처럼 이 부분이 밑으로 가게 세우고 유약을 바르지 않고 모래를 깔아 구웠다.
백토 분장 후 모란무늬를 새겼는데, 무늬의 배치를 위하여 두 줄 종선을 그어 세 부분으로 문양대를 구획하였다. 가운데의 중심 문양대는 다시 횡으로 전후·상하로 구획되어 방형을 이룬다.
전면에 백토 분장을 한 뒤 조화기법(彫花技法)을 사용하여 음각선의 모란꽃을 새겼고, 무늬의 배경만 백토를 긁어 내어 회색 바닥을 드러나게 하는 박지기법(剝地技法)도 가미하여 문양을 더욱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조화·박지기법은 분청사기의 대표적인 특징 중의 하나이며, 대체로 세종 때 호남지방에서 유행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분청사기명품전』(호암미술관, 199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분청사기 박지모란문 장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