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출생 | 1544년(중종 39) |
사망 | 1598년(선조 31) |
경력 | 인동부사 |
유형 | 인물 |
관련 사건 | 임진왜란, 당포해전, 노량해전 |
직업 | 공신, 무신 |
성별 | 남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밀양(密陽) |
요약 조선시대 선무원종공신에 책록된 공신. 무신.
개설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명화(命和), 호는 동계(東溪). 참판 박눌생(朴訥生)의 6대손이며, 아들이 병조참의 박응수(朴應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성품이 용맹, 과감하고 지략이 있었다. 선조 때 무과에 급제하여 사재원(司宰院) 주부(主簿), 첨정(僉正)을 역임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의 진중에 자원, 종군하여 당포해전(唐浦海戰)에서 붉은 갑옷을 입은 적장을 쏘아 죽여 전투를 승리로 이끌자, 이순신이 그 장재(將材)를 인정, 선봉으로 내세웠다.
이듬해 5월에는 경상도의 감사와 병사(兵使)로부터 진주성이 위급하다는 보고를 듣고, 이순신의 명을 받아 진주의 사정을 정탐, 보고하였다.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임명된 뒤에도 계속 종군하면서 화전(火箭)을 쏘아 여러 번 전공을 세웠으며, 이 사실이 조정에 알려지자 인동부사(仁同府使)에 임명되었다.
1598년 겨울, 통제사 이순신이 명나라 진린(陳璘)과 연합하여 적군을 노량해상에서 요격할 때 명나라 군중에서 약속을 어겨 우리 장병 중 많은 사상자가 나게 되었다. 이때 선두에 서서 용감하게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되고 호조참판에 증직되었다. 흥양(興陽)의 봉암사(鳳巖祠)에 제향되었다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봉암사가 훼철되자 고흥(高興)의 숭양사(崇陽祠)에 아들 박응수와 함께 배향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호남삼강록(湖南三綱錄)』
- ・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박은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