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출생 | 1350년(충정왕 2) |
사망 | 1414년(태종 14) |
경력 | 경기우도도관찰사, 대사헌, 완산부윤 |
유형 | 인물 |
직업 | 문신 |
성별 | 남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영해(寧海, 지금의 경상북도 영덕) |
요약 조선전기 경기우도도관찰사, 대사헌, 완산부윤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영해(寧海). 시중 박감(朴瑊)의 후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처음에 음보(蔭補)로 벼슬에 나가 밀직부사를 역임하였다. 1394년(태조 3) 대사헌 재직 시 상소를 올려 가선대부(嘉善大夫) 이하 4품 이상의 첨직(添職)을 받은 자는 임명장에 그 전직(前職)을 기록하게 하여 관직을 함부로 주는 폐단을 방지할 것을 건의했다.
또 이듬해(1395년)도 태조에게 상소를 올려 풍악을 절제할 것, 전렵과 궁 밖 행차는 일정한 때를 정하여 할 것, 토목 공사를 줄일 것, 아첨하는 무리들을 물리칠 것, 부처와 귀신 섬기는 것을 번잡하게 하지 말 것, 여악(女樂)을 금할 것 등을 건의하였다. 1398년 경기우도도관찰사(京畿右道都觀察使)로 기선군역(騎船軍役)의 고통과 폐단을 상주하였다.
1402년(태종 2) 총제(摠制)로 있을 때 사신을 영접하지 않은 죄로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통진(通津)으로 유배되었다. 1405년 개성유후사(開城留後司)의 부유후로 다시 등용되었으며, 1411년 대사헌 재직 시에는 토목 역사의 중지를 간청하였다.
같은 해 손흥종(孫興宗) 사건을 가볍게 처리하였다는 사헌부의 논핵(論劾)을 받았다. 1412년 완산부윤(完山府尹)이 되고 다음 해 물러났다. 시호는 양정(良靖)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고려사(高麗史)』
-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 『태조실록(太祖實錄)』
-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박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