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성격 | 평야 |
---|---|
유형 | 지명 |
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시 |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요약 금강의 지류인 미호천(美湖川) 하류에 형성된 평야.
내용
미호평야는 미호천이 하류의 화강암지대를 관류(貫流)하면서 이루어 놓은 평야이다. 해발고도 20~40m의 충적지(沖積地)가 너비 2~4㎞, 길이 약 25㎞에 걸쳐 북동~남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에 고도 100m 이하의 구릉지가 넓게 펼쳐져 있다.
주요 분포 지역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강내면·옥산면을 비롯하여 무심천 지류의 청주분지와 북쪽에 접한 청원구 내수읍·북이면 일대이다. 미호천은 구릉지의 좁은 골짜기를 통하여 금강과 합류한다.
미호평야는 충청북도 최대의 곡창지대로 경지 정리가 잘 이루어진 곳이다. 쌀 이외에도 수박·오이·토마토·고추·배추 등의 채소류, 참깨·들깨·잎담배 등의 특용작물이 많이 재배되며, 청주 근교에서는 낙농업도 활발한 편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한국지리: 각 지방의 자연과 생활』(권혁재, 법문사, 1995)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미호평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