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미리미동국

다른 표기 언어 彌離彌凍國
요약 테이블
시대 고대/초기국가/삼한
성격 국가, 고대국가
유형 지명
소재지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북도 포항시,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분야 역사/고대사

요약 삼한시대 변한의 소국.

내용

변한 12소국 중의 하나이다. 3세기 후반에 저술된 《삼국지》 위서 동이전 한조에는 삼한(三韓) 소국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당시의 중국 상고음(上古音)에 따라 표기한 이들 소국들의 이름은 대체로 우리 나라의 한자음에 가깝다. 미리미동국의 미리(彌離)는 우리말 ‘미리’·‘밀’의 한자 표기이다.

《삼국사기》의 지리지에 따르면 “밀성군(密城郡)은 본시 추화군(推火郡)으로 경덕왕이 이름을 고쳐 지금도 그대로 일컫는다.”라고 하였다. 추화는 ‘밀불’·‘밀’의 한자 표기이다. ‘불’·‘’은 벌(伐)·불(弗)·부리(夫里)·비리(卑離) 등으로도 표기되어 평야·도읍·나라 등을 뜻한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 진한조에 나타난 미동(彌凍)이라고 붙여진 나라는 난미리미동국(難彌離彌凍國)·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 古自國) 등이 있다. ‘미동’은 앞에서 말한 ‘’·‘부리’ 등과 같이 ‘나라’라는 뜻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미리미동’은 앞에 든 밀[推火]의 밀성군,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 지방에 있던 나라 이름으로 추정된다. ‘미동’은 마한의 ‘우휴모탁국(優休牟涿國)’의 ‘모탁’과 같은 말로서, 물둑[水堤]의 뜻이다.

따라서, 그 위치는 신라 때 ‘밀불[推火]’이었으며, 수산제(守山堤)라는 제방이 있던 경상남도 밀양시에 비정된다. 이와는 달리 경상북도 포항시(옛 영일군)나 혹은 예천군 용궁면으로 비정하기도 한다.

이 소국은 변한 연맹체의 일원으로서, 맹주국과 여러 가지 형태의 결속 관계를 맺으며 토착적인 세력 기반을 가지고 3세기 이후까지 개별적인 성장을 지속하다가 신라에 복속되었다. → 변한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삼국사기』
  • ・ 『삼국지(三國志)』
  • ・ 「진·변한제국의 위치시론」(천관우, 『백산학보』 20, 1976)
  • ・ 『삼한사회형성과정연구』(이현혜, 일조각, 1984)
  • ・ Analytic Dictionary of Chinese and Sino-Japanese(Karlgren, K.B.J., 192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대

고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미리미동국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