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유적 |
---|---|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요약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동화사에 있는 조선시대 다포양식의 사찰건물. 불전.
내용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1976년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조선사찰사료≫에 의하면, 동화사는 고려 초 대각국사(大覺國師)가 창건하였으며 조선조로 내려와서는 법홍(法弘)이 향로전(香爐殿) 등을 중창하고, 그 후 1696년(숙종 22)에 법당 · 선승당(禪僧堂) · 요사 · 문루 등을 계환(戒環)이 중건하였다 한다.
대웅전의 건물구조는 막돌로 다듬은 낮은 기단 위에 원형 주초석을 놓고, 그 위에 배흘림 원형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로는 일반적인 모습대로 창방(昌枋)과 평방(平枋)을 돌리고 그 상층에 공포(栱包)를 결구하였다.
첨차살미의 쇠서[牛舌]는 수직으로 내리뻗지 않고 호형(弧形)을 이루면서 위로 구부러져 올라갔다. 출목수는 외3출목, 내4출목으로 매우 화려한 편이며, 각 주간(柱間)에는 공간포(空間包) 1구씩을 배치하여 장엄함을 더했다.
내부는 우물천장이고 첨차살미는 완전히 운공(雲工)으로 변하지 않고 2단까지는 일반적인 형식을 하고 있다. 문은 3간으로 모두 4분합인데 빗살문이다. 창방 밑으로는 교창을 두지 않고 그 공간을 토벽으로 처리하였다.
네 귀퉁이 처마 밑에 활주(活柱)를 세웠으며 처마의 처짐은 완만하다가 추녀에 이르러서 약간 들어올린 반전을 하여 경쾌함을 나타냈다.
이 건물은 조선 중기 이후의 다포양식을 잘 보여주는 예로서 공포의 화려함과 건물 전체에서 풍겨주는 아담한 조형미는 이 건물을 한층 돋보이게 하고 있다. 이 건물은 1984년 옥개부 이상을 해체 복원한 바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유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동화사 대웅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