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대문

다른 표기 언어 大文 동의어 실복(悉伏)
요약 테이블
시대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인물/전통 인물
분야 역사/고대사

요약 대문은 보덕국왕 안승이 신라 왕경으로 떠난 뒤 남아 있다가 684년 반란 모의 발각으로 처형된 고구려 유민이다. 대문의 죽음을 목격한 보덕성민들은 관리를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 진압 이후 보덕성민들은 남쪽 주군으로 사민된다.

가계 및 인적 사항

대문(大文)은 고구려 멸망 후 검모잠(劍牟岑)에 의해 왕으로 받들어졌다가 신라에 투항한 후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 지역인 금마저(金馬渚)에 정착하고, 고구려왕에 이어 보덕국왕(報德王)으로 봉(封)해진 안승(安勝)의 족자(族子)이다. 안승이 연정토(淵淨土)의 아들이자 고구려 보장왕(寶藏王)의 외손자라고 하니, 대문 또한 고구려 고위층 출신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보덕국으로 넘어온 후에도 중용된 듯 장군(將軍)의 호칭을 가지고 있다.

주요 활동

683년(신문왕 3) 10월 보덕국왕 안승이 소판(蘇判)의 관등과 김씨 성을 하사받고 왕경(王京)에 거주하게 된다. 남아 있던 대문은 이듬해인 684년(신문왕 4) 11월 금마저에서 반란을 도모하였으나,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대문을 처형한 것은 고구려 유민들에 대한 경고의 의미로 해석하기도 하는데, 그의 죽음은 오히려 보덕성민의 반란을 촉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목격한 나머지 사람들이 관리를 살해하고 금마저에 근거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684년(신문왕 4) 조에는 대문을 '실복(悉伏)'이라고도 한다는 주석이 있지만, 김영윤(金令胤) 열전에 따르면, 고구려의 남은 적(賊)으로 지칭된 실복은 보덕성을 기반으로 실제 반란을 일으켜 가잠성(椵岑城) 남쪽에 진을 치고 김영윤 등과 전투를 벌이고 있어, 반란을 도모하는 단계에서 처형되었다는 대문의 행적과는 다르다. 「신라본기」 편찬자가 별도의 인물을 동일인으로 오판하였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신문왕은 토벌군을 보내 성을 함락한 뒤 그 사람들을 남쪽 주군(州郡)으로 사민(徙民)시키고 그 땅에는 금마군(金馬郡)을 설치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삼국사기(三國史記)』
  • ・ 이강래, 『삼국사기 형성론』(신사원, 2007)
  • ・ 이미경, 「신라의 보덕국 지배정책」(『대구사학』 120, 대구사학회, 2015)
  • ・ 정선여, 「신라로 유입된 고구려 유민의 동향 –보덕국 주민을 중심으로」(『역사와 담론』 56, 호서사학회, 2010)
  • ・ 서영교, 「신문왕대 보덕성민의 반란과 핼리혜성」(『인문학연구』 78, 2009)
  •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사기(https://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sg)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대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