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다른 표기 언어 丹陽 香山里 三層石塔
요약 테이블
시대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유형 유적
분야 예술·체육/건축

요약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일반형 석조 불탑. 석탑. 보물.

내용

1964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4.05m. 이 석탑은 현재의 위치가 원위치이며, 주변 밭에는 기왓장과 자기 조각들이 무수히 널려 있어 이곳 일대가 옛 절터임을 곧 알 수 있으나, 이에 관한 기록은 전혀 찾지 못하고 있다.

마을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1935년경 누군가가 석탑 내의 보물을 탐내 탑신부를 쓰러뜨린 일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 2, 3층의 옥개석 전각부에 약간의 마손이 있을 뿐 상륜부까지도 거의 완전한 상태이다.

석탑의 구조는 상·하 2층으로 구성된 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를 놓은 일반형 석탑으로서, 기단부는 여러 개의 장대석으로 지반석을 마련하고 그 위에 5매석으로 된 지대석을 구축하였으며 이 위에 하층기단 면석을 놓았다.

하층기단 면석은 4매의 판석으로 조립되었는데 각 면에는 양쪽에 우주가 마련되고 중앙에는 탱주(撑柱) 1주씩이 모각되었다. 하층기단 갑석은 4매의 판석을 결구하여 이루었으며, 상면에는 호형(弧形)과 각형의 굄대로 상층기단을 받고 있다.

상층기단 면석은 한쪽 면을 2매의 판석으로 조립하였으므로 모두 8매로 이루어졌는데, 각 면에는 양쪽 우주와 중앙의 탱주 1주씩이 정연하게 모각되었다. 상층기단 갑석은 2매의 판석으로 결구하였는데, 아랫면에는 부연이 모각되고 윗면 중앙부에는 호형과 각형의 굄대를 마련하여 그 위에 탑신부를 받고 있다.

3층의 탑신은 옥신과 옥개석이 각기 1석씩으로 조성되었는데, 각 층의 옥신석에는 양쪽에 우주가 정연하게 모각되었다. 그리고 초층 옥신석에만은 남쪽면 중앙 하부에 문비형(門扉形)이 모각되었는데, 너비 26㎝, 길이 40㎝로 이중액권(二重額圈)이며, 이것을 다시 오목새김단선으로 너비 13㎝씩 양분하여 양쪽의 문짝을 표시하였다.

각 층의 옥개석은 옥개받침이 4단씩이고 윗면 중앙에는 2단의 각형 굄을 각출하여 그 위층의 옥신을 받고 있다. 낙수면이 평박하고 네 귀퉁이의 전각의 반전도 경쾌하여 세련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상륜부는 노반석(露盤石) 이상의 복발(覆鉢)·보륜(寶輪)·보주(寶珠) 등 각 부재가 1석씩으로 조성되었다.

탑신부의 체감률은 1층과 2층의 옥신이 3:1의 감축을 이루고 있어 안정감을 주고 있고, 옥개석의 경쾌한 모습으로 볼 때 안정되고 세련된 모습이다.

기단부가 상·하 2층기단의 정연한 형식이고, 특히 탑신부의 각 층 옥신 굄이 각형 2단씩이며, 경쾌한 옥개석의 조성수법 등 각 부의 건조양식과 결구수법으로 보아, 이 석탑의 건립연대는 신라 하대인 9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이 석탑에서 특기할 것은 죽령(竹嶺) 북쪽에 위치한 신라석탑이라는 점과 석탑 자체의 구성에서 상층기단의 면석이 8매석으로 조립된 점, 초층옥신 남쪽면에 문비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 등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문화재대관』 4 보물 2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통일신라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