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성격 | 고지명 |
유형 | 지명 |
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시 |
분야 | 지리/인문지리 |
요약 전라남도 나주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백제의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 또는 未多夫里)이었는데, 670년(문무왕 10) 이후 신라에 점령된 뒤 미동부리정(未冬夫里停)이 설치되었다. 757년(경덕왕 16) 현웅(玄雄)으로 고치고 무주(武州)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 남평(南平, 또는 永平)으로 고치고 나주목에 속하였다가 1172년(명종 2) 감무관(監務官)으로 독립 고을이 되었다. 1390년(공양왕 2) 수령(守令)이 폐지되고 화순현에 겸관(兼官)으로 편입되었다.
1394년(태조 3) 다시 감무를 두었고, 1413년(태종 13) 감무가 현감(縣監)으로 바뀌었다. 1415년 철야현(鐵冶縣)ㆍ도민부곡(道民部曲)ㆍ운곡소(雲谷所) 등이 임내(任內)로 편입되고 이들은 뒤에 직촌(直村)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나주부 남평군, 1896년 전라남도 남평군이 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나주군에 병합되어 남평면이 되었다가 1995년 나주시와 나주군이 통합되면서 읍으로 승격되었다.
유적으로는 관내에 광리(光利)ㆍ오림(烏林)역이 있었고, 읍 남쪽에는 신라미동부리정 때의 읍성으로 둘레가 5리나 되는 성산고성(城山古城)이 있었으며, 철야현에서는 838년(민애왕 1) 왕군과 김우징(金祐徵)을 지원하는 청해진(靑海鎭) 군대 사이에 격전이 벌여졌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삼국사기(三國史記)』
- ・ 『고려사(高麗史)』
-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 『국여지지(國輿地志)』
- ・ 『여지도서(輿地圖書)』
- ・ 『대동지지(大東地志)』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남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