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김해김씨 비각

다른 표기 언어 金海金氏 碑閣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유형 유적
분야 사회/가족

요약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비각.

내용

1976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건물은 비석을 보호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옛날 진주에서 하동으로 가는 길목인 진주성 북쪽 성벽 밑에 위치하며 이 거리를 ‘빗집거리’, 즉 비각거리라고 부르고 있다.

비각 안에는 가선대부(嘉善大夫) 김상현(金尙鉉)의 부인 정부인(貞夫人) 연안차씨(延安車氏)의 시혜불망비(施惠不忘碑)와 그의 아들인 전 간관(諫官) 김정식(金正植)의 시혜불망비(施惠不忘碑) 2기가 가지런히 서 있다.

이 비를 세운 내력은 진주성 안에 살고 있던 동민들이 질병 등으로 재난을 당하고 있을 때 사재를 털어 참다운 정성으로 마을 사람들을 도와준 연안차씨와 김정식의 은혜를 기리기 위해 마을 사람들이 비를 세웠다.

이들 비는 1901년(광무 5)과 1907년에 각각 세워졌으며, 비각은 정면 2칸, 측면 1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외삼출목의 다포양식이고 처마의 네모서리에 팔각기둥의 활주를 설치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김해김씨 비각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