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김직재

다른 표기 언어 金直哉 동의어 경어(景魚)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출생 1554년(명종 9)
사망 1612년(광해군 4)
경력 성균관학록
유형 인물
관련 사건 김직재의 옥사
직업 문신
성별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안동(安東)

요약 조선시대 김직재의 옥사와 관련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어(景魚). 김결(金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승석(金承碩)이고, 아버지는 김흠(金欽)이며, 어머니는 전순필(全舜弼)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73년(선조 6) 진사시에 합격하고, 1585년(선조 18)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선조 때 성균관학록(成均館學錄)으로 있다가 그만두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왜적에게 팽살(烹殺)당한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다고 하여 아버지의 상중에 종군(從軍)하였다. 하지만 적군 토벌에는 마음을 쓰지 않고 상중의 선비가 고기와 술을 마음대로 먹고 마셔 양반의 체통을 잃었다고 하여 직첩(職牒: 관원의 임명사령증)이 환수되었다.

광해군 때는 다시 늙은 어머니를 학대하였다 하여 돌려받았던 직첩을 다시 환수당하였다. 1612년 아들 김백함(金白緘)이 왕을 제거하고 진릉군(晉陵君) 이태경(李泰慶)을 추대하려는 역모에 연루되어 능지처사되고 가산이 적몰되었다.

이것이 이른바 김직재의 옥으로 이어지는 대·소북파 사이의 정쟁(政爭)에 당시 불평객이었던 이들 부자가 희생된 무옥(誣獄: 무고로 일어난 옥사사건)이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선조실록(宣祖實錄)』
  •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김직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