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김복호

다른 표기 언어 金福護
요약 테이블
시대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미상
사망 미상
경력 사찬(薩飡)
유형 인물
직업 관리
분야 역사/고대사

요약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찬으로 일본에 사신으로 간 관리.

내용

『속일본기(續日本紀)』에 의하면, 703년(성덕왕 2) 1월 9일에 “신라국에서 사찬(薩飡) 김복호, 급찬(級飡) 김효원(金孝元) 등을 보내와 효소왕의 상(喪)을 아뢰었다.”라고 되어 있다.

또, 같은 해 윤4월 1일에 “난파관(難波館)에서 향응하고, 조(詔)를 내려 효소왕의 돌아가심을 애도하여 사신을 보내어 조문하도록 하는 동시에, 김복호 등에게는 그 노고를 생각하여 포백(布帛)을 하사하였다.”고 하였으며, 5월 21일에 “김복호 등이 귀국길에 올랐는데, 다음날(3일) 신라인으로 왜국에 와서 머물고 있는 자들을 그에게 딸려서 본국으로 돌려보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때 누가 조위사(吊慰使)로 신라에 왔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런데 같은 해인 『삼국사기』 성덕왕 2년 7월조에는 “일본국사(日本國使)가 왔는데 총 204인이었다.”라고 하고 있다.

이때 신라에 온 204인의 일본국사는 일단 김복호 등의 효소왕 부고사(訃告使)에 대하여 조(詔)하여 “사신을 보내서 조위하고 부의하도록 하라(可差使發遣吊賻).” 한 그 조위사로 신라에 보내진 사람들이라고 봄이 타당할 듯 하다.

그것은 김복호 등이 5월에 귀국길에 올랐는데 204인의 일본국사 등도 김복호와 같이 5월에 일본에서 출발하였든지, 아니면 김복호와는 따로 출발하였든지 하여 7월 신라에 당도한 것이라고 봄이 자연스러운 것이기 때문이다.

김복호는 『속일본기』 이외에는 보이지 않아 그가 어떤 사람인지는 잘 알 수 없고, 김씨라는 성으로 왕족 출신인 것만을 알 수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삼국사기(三國史記)』
  • ・ 『속일본기(續日本紀)』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대

고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김복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