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금성 중전리 고가

다른 표기 언어 錦城 中田里 古家
요약 테이블
유형 유적
분야 생활/주생활

요약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에 있는 조선후기 안채·문간채·바깥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내용

1981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가옥은 ㄱ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문간채와 바깥채가 전체적으로 튼ㅁ자를 이루고 있으며, 가옥의 입구와 뒷편에 방앗간이 있다.

ㄱ자형의 안채는 2칸의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2칸의 안방과 꺾이어 2칸의 부엌이 있고 왼쪽 1칸에는 건넌방이 있다. 자연석으로 쌓은 3벌대의 기단 위에는 덤벙주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웠으며, 기둥머리에는 건물 내ㆍ외방향으로 양봉이 끼워져 있다.

도리는 납도리를 썼고 많이 휘인 대들보 위에 직접 종도리를 걸은 3량집으로 홑처마 우진각 지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ㄴ자형으로 된 문간채와 바깥채에서 문간채에 달려 있는 중문을 원래는 2칸 크기로 하여 안채로 들어 갈때 밖에서 안이 보이지 않도록 꺾이어 들어 가도록 하였으나 지금은 중문을 1칸으로 하여 놓았다.

이 중문을 중심으로 오른쪽으로는 3간의 문간방이 있는데 그 끝에 이 방과 연결된 1칸의 마루가 달려 있으며, 중문 왼쪽편으로는 1간의 외양간이 있다. 이 외양간에서 다시 윗쪽으로 꺾이어서는 3칸의 사랑방이 있고 역시 이 곳 끝에도 1칸의 마루가 달려 있다.

2벌대로 쌓은 낮은 기단 위에는 덤벙주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웠는데 양봉이 생략되었다. 도리는 납도리이며, 대들보 위에 동자주대공을 세워 종량을 걸은 간결한 3량집이며, 지붕은 초가지붕으로 올렸다.

조선시대 전형적인 양반가의 가옥 구조로서 규모가 크고 보존상태가 좋아 사대부가의 생활상이나 주택양식을 살펴 볼 수 있는 훌륭한 가옥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적

유적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금성 중전리 고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