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군중상인

다른 표기 언어 郡中上人
요약 테이블
시대 고대/삼국
성격 관직, 신분, 계층
유형 제도
시행일 신라 중고기
분야 역사/고대사

요약 신라 중고기 지방의 토착지배층.

내용

551년에 건립된 「명활산성작성비(明活山城作成碑)」와 591년에 건립된 「남산신성비 南山新城碑」 제2비에 기록되어 있다.「남산신성비」 제2비에 두 사람이 보이는데, 이들은 각각 외위(外位) 제4등급인 귀간(貴干)과 제5등급 찬간(撰干) 보유하고 있다.

이들을 종래에는 촌단위의 대표자로 보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군 단위의 대표자로 보고 있다. 이들은 군을 구성하는 여러 촌 중에서 제1촌과 제2촌을 대표하는 자로서, 한편으로 군단위를 공동으로 대표하기도 했던 토착지배층이었다. 「명활산성작성비」에서는 한 사람만 나와 있는데, 이는 제1촌을 대표하는 자로 보인다.

‘군중(郡中)’의 ‘중(中)’에 대해서는 군의 등급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려는 견해와 별다른 의미가 없는 개사(介飼)로 보려는 견해가 있는데, 후자의 견해가 유력하다. ‘상인(上人)’은 그 용례가 「남산신성비」 제2비에서 ‘작상인(作上人)’으로, 제5비에서 ‘성촉상인(城促上人)’으로, 그리고 「명활산성작성비」에는 ‘상인나두(上人邏頭)’ 등으로 쓰이고 있어, 어느 집단을 대표하는 ‘윗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군중상인이란 ‘군을 대표하는 윗사람’인 셈이 되어, 「남산신성비」 제1비에 나오는 ‘군상촌주(郡上村主)’ 및 제9비에 나오는 ‘군상인(郡上人)’과 성격이 같다고 할 수 있다. 군상촌주의 직임은 중앙에서 파견된 나두(邏頭) 혹은 도사(道使)의 지휘감독하에 축성 등의 군·촌 단위의 행정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데에 있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남산신성비(南山新城碑)」
  • ・ 「명활산성작성비의 역역동원체제와 촌락」(주보돈, 『조항래교수화갑기념한국사논총』, 1992)
  • ・ 「신라 중고기의 촌제와 지방사회 구조」(김재홍, 『한국사연구』72, 1991)
  • ・ 「신라의 군사와 촌사」(주보돈, 『한국고대사연구』1, 1988)
  • ・ 「신라 중고기 군의 형태와 성(촌)」(이수훈, 『고대연구』1, 1988)
  • ・ 「신라 중고기 주제의 형성과 운영」(강봉룡, 『한국사론』16, 서울대학교국사학과, 1987)
  • ・ 「금석문으로 본 신라 중고의 지방관제」(김창호, 『역사교육논집』6, 1984)
  • ・ 「신라의 촌과 촌주」(이우태, 『한국사론』7,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1)
  • ・ 「남산신성비를 통하여 본 신라의 지방통치체제」(이종욱, 『역사학보』64, 1974)
  • ・ 「남산신성비의 종합적 고찰」(진홍섭, 『역사학보』26, 1965)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군중상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