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유적 |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요약 경상북도 김천시 구화산(九華山)에 있는 해방 이후 에 중수된 사찰.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直指寺)의 말사이다. 본래 김천의 진산(鎭山)에 있었던 고산사(孤山寺)의 후신인데, 고산사는 조선 중기까지도 현재의 향교 자리에 있었던 대찰이었다.
그러나 명당인 이 절터에 김산향교(金山鄕校)를 건립하기 위하여 주지를 투옥하고 강제 철거시킴으로써, 고산사는 산내의 12암자 가운데 하나였던 벽루암(碧樓庵)으로 자리를 옮겨 영화암(暎華庵)이라 개칭하였다.
그 뒤 1951년의 중수 때 구화사로 개칭하였다. 영화암의 불상은 방광(放光)을 자주 하여 1951년의 중수 때까지 방광이 9번 있었으므로 절 이름을 구화사로 바꾸었는데, 그 뒤로는 9의 숫자를 다 채워서인지 방광이 한 번도 없었다고 한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삼성각·요사채 등이 있다. 대웅전 안에는 방광을 했다는 조선 초기의 목조석가여래좌상과 후불탱화(後佛幀畫)·신중탱화(神衆幀畫) 등이 있고, 삼성각 안에는 칠성·산신·독성탱화(獨聖幀畫)가 있다. 이 밖에도 이 절에는 중종(中鐘)과 벽루암중수기·영화암중수기현판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내 고장 우리 향토』(김천시, 1983)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한국의 사찰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구화산 구화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