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공릉

다른 표기 언어 恭陵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전기
유형 유적/고인돌·고분·능묘
분야 역사/조선시대사

요약 공릉(恭陵)은 조선 8대 예종의 왕후인 장순왕후 청주한씨의 능이다. 장순왕후가 세자빈 시절 승하해 세자빈묘로 조성되었으며, 석실을 사용하고 난간석과 병풍석은 제작하지 않았다. 공릉으로 봉릉된 뒤에도 추가로 석물을 제작하지 않아 15세기 세자빈묘의 체제를 잘 유지하고 있다. 공릉은 사적으로 지정된 파주 삼릉(坡州 三陵) 중 가장 먼저 조성된 능이다.

건립경위

장순왕후(章順王后)는 1460년 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며, 이듬해인 1461년 11월 인성대군(仁城大君)을 낳고 12월 산후병으로 승하하였다. 이때 장순(章順)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상장(喪葬)은 현덕빈(顯德嬪, 문종 비 현덕왕후)의 예에 의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공릉은 맨 처음 세자빈묘로 조성되었으며, 세조(世祖)의 명으로 석실(石室)을 사용하고, 병풍석과 난간석은 사용하지 않았다. 파주의 보시동(普施洞) 언덕에 안장하였으며, 현재의 위치이다. 성종 즉위 이듬해인 1470년에 장순빈은 휘인소덕 장순왕후(徽仁昭德 章順王后), 능호는 공릉(恭陵)으로 추숭되었다.

변천

공릉과 경릉은 1470년 함께 봉릉(封陵)되었는데, 세조 비 정희왕후(貞熹王后)가 “능(陵) 위에는 마땅히 의물(儀物)을 갖추어야 할 것인데, 다만 생각하건대, 신도(神道)는 고요한 것을 숭상한다. 두 능(陵)은 안치(安置)된 지가 이미 오래되었으므로 동요(動搖)시킬 수가 없으니, 그 의상(儀象)의 잡물(雜物)은 가설(加設)하지 말라.”라는 명으로 더 이상의 석물을 추가하지 않았다.

형태와 특징

공릉은 봉분 주변에 양석과 호석이 1쌍씩 배치되어 있으며, 봉분 앞에 혼유석과 장명등, 문석인과 마석이 배치되어 있다. 세자묘로 조성된 덕종 경릉과 동일하게 석물이 배치되어 있다. 덕종 경릉과 장순왕후 공릉은 석물의 수량뿐만 아니라 석실을 사용한 점도 같다.

능강 아래에는 정자각과 비각이 있으며, 수라간은 남아 있지 않다. 재실은 파주 삼릉 입구에 남아 있으며, 재실 근처에 있던 전사청, 제기고, 안향청 등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

금석문

비각 내부에 있는 표석은 1817년에 공혜왕후 순릉 표석과 함께 건립되었으며, 앞면의 전서(篆書)는 박윤수(朴崙壽), 뒷면의 음기는 김시근(金蓍根)이 쓴 것이다.

의의 및 평가

공릉은 가장 먼저 세자빈묘로 조성되었으며, 봉릉 뒤 석물이 추가되지 않아 이후 세자빈묘의 전거가 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춘관통고(春官通考)』
  • ・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 Ⅱ』(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


[Daum백과] 공릉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