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유적 |
---|---|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요약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학자 최치원이 승려 여지대사 등과 창건한 사찰건물. 국가유산 보물.
내용
정면 5칸, 측면 2칸의 익공계 팔작지붕건물. 1982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고, 2024년 7월 17일 국가유산 보물로 승격되었다.
고운사는 의상(義湘)이 창건한 절로, 신라 말엽 최치원(崔致遠)이 입산하여 여지(如智) · 여사(如事) 두 대사(大師)와 함께 가운루(駕雲樓)와 우화루(羽化樓)를 건립하였다.
고운사를 에워싸고 있는 등운산(騰雲山) 아래 세 마리 거북 형상의 산봉우리에 기대어 북에 대웅전, 서에 극락전, 동에는 탑을 세웠다고 한다.
흘러내리는 계류 위에 걸쳐 앉은 가운루는 누(樓)형식의 건물로 조계문과 천왕문을 들어서면 서향한 정면이 바로 보인다. 이 건물은 후대에 여러 차례 중수되었으리라 여겨지는데, 1676년(숙종 2)과 1717년의 중수기가 남아 있다.
건물의 전면과 양 측면은 판벽으로 구성되었고, 전면 중앙 3칸에는 가운데 설주가 있는 쌍여닫이 판창문이, 남측면에는 판문으로 된 출입문을 두었다. 북측면의 동쪽 칸에 치우쳐서 누각을 오르내리는 계단이 나무로 짜여 있고 양여닫이 판문을 달아 누에 들게 하였다.
동향인 배면은 계자각(鷄子脚) 난간을 돌려 개방하였다. 계곡 바닥 암반에는 둥글고 긴 초석을, 지면에는 막돌 덤벙주초를 두어 누하주를 세우고 우물마루를 깔아 누상주를 설치하였다.
기둥은 약한 배흘림이 있는 두리기둥으로 하였고, 주두(柱頭)의 바깥쪽은 초익공으로, 안쪽으로는 초각된 보아지로 들보를 받쳤다. 그러나 건물 네 귀의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는 2익공으로 짜여져 있다.
지붕가구는 5량가로 들보 위에 두꺼운 판재를 포개놓아 중도리와 종보를 받았으며, 종보 위에는 고졸한 모양의 화반과 첨차를 직교하여 마루도리를 올려놓았다.
전체적으로 보아 조선시대, 특히 중기의 양식이 지배적이기는 하나 각 부분의 세부형식이 각기 다른 시대의 수법을 보이고 있어 몇 차례의 중수과정을 짐작케 하고 있다. 그러나 초익공계 건물에 귀기둥만 2익공으로 꾸민 점이나, 산지 가람에서 계류 위에 꾸민 누형식 등은 흔치 않은 예이다.
2025년 3월 경북지역에 대형 산불이 발생할 당시 소실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경상북도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81)
- ・ 『한국불교사찰전서』(불교시대사, 199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고운사 가운루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