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대 | 조선 |
---|---|
유형 | 유적 |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에 있는 조선후기 에 창건된 사찰건물. 강당.
내용
1981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9.09m), 측면 3칸(3.94m)의 맞배지붕건물. 공포(栱包)는 다포식(多包式) 안팎 2출목(二出目)이다. 자연석 위에 덤벙주춧돌을 배열하고 그 위에 배흘림을 한 둥근 기둥을 세운 뒤 그 위에 창방(昌枋)을 짜올렸다.
건물 입구에는 기둥 사이 아래쪽에 머름중방을 설치하였으나 문설주에 단 문짝은 많이 변형되었다. 양 옆칸의 문미(門楣 : 창문의 위틀) 바로 위에는 교창(交窓 : 낮은 창)이 있다. 가구(架構)는 평방 위에 2출목으로 공포를 짜올려 도리를 받치는 한편, 평주(平柱) 사이에 대들보를 걸치고 기둥 4개를 세워 이를 받쳤다.
대들보 위쪽의 천장은 판장천장(板張天障)이다. 공포의 모양은 외부 첨차의 쇠서[牛舌]가 비교적 곧바르고, 내부 살미첨차는 운궁형(雲宮形)으로 만들어 연꽃을 조각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문화재대관』(충청남도, 1985)
- ・ 『충청남도지』(충청남도지편찬위원회, 1979)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한국학 관련 최고의 지식 창고로서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과 업적을 학술적으로,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한국학 지식 백과사전이다.
조선 문화재
추천항목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갑사 강당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