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루브르 박물
관에서 꼭
봐야 ...
쿠엔틴 메치스

〈대부업자와 그의 부인〉

요약 테이블
저작자 쿠엔틴 메치스(Quentin Metsys, 1465~1530)
제작시기 1514년

안트베르펜에서 주로 활동한 쿠엔틴 메치스(Quentin Metsys, 1465~1530)는 교회 제단화나 초상화 부문에서 유명세를 끌었다. 그러나 〈대부업자와 그의 부인〉은 특정 인물을 위한 초상화라기보다는 오히려 일반 시민들의 소소한 일상을 담아 낸 그림에 가깝다.

쿠엔틴 메치스 〈대부업자와 그의 부인〉

목판에 유채 / 70×67cm / 1514년 제작 / 루브르 박물관 리슐리외관 2층 9실

ⓒ 휴머니스트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위 일상을 담은 회화를 ‘장르화’라고 부른다. 전통적으로 회화 작품의 경우는 주제 면에서 종교와 신화, 영웅들의 업적 등을 그린 역사화를 으뜸으로 쳤다. 역사화나 초상화를 제외한 나머지 그림들은 그저 다른 ‘종류’의 그림이라 하여 ‘장르화’라고 불렀는데, 세월이 지나면서 풍경화, 정물화 등은 그 이름을 가지게 되었지만 이런 유의 그림은 여전히 장르화라고 불리다가 고유명사가 된 것이다.

플랑드르와 네덜란드 지역에서는 이처럼 영웅이 아닌 소시민들의 삶을 담담하게 그려 내는 장르화가 큰 인기를 끌었다. 쿠엔틴 메치스는 알프스 북쪽의 화가답게 별것 아닌 듯한 장면을 그리면서도 그 안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그림 앞에서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는다. 값비싼 유리병과 귀금속, 그리고 당시에는 고가품에 해당했던 책자와 이국적인 과일 등은 이들 대부업자가 제법 자산가임을 보여 준다.

남편은 금화의 무게를 다느라 정신이 없고 아내 역시 기도서를 펼쳐 놓고는 있지만 넋이 나간 듯 그 광경을 바라본다. 화면 가운데에 볼록 거울이 보이는데 그 안으로 창틀과 한 사람이 얼핏 보인다. 창틀은 십자가형으로, 그리스도의 수난을 상징한다. 따라서 이 그림은 헛된 물욕과 신앙을 잘 구분하여 살아야 한다는 뜻으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성경》을 읽으면서도 충분히 세속적인 일, 특히나 전통적으로 기독교에서 금해 온 고리대금업 같은 일이 가능해진 시대를 반영한다고도 볼 수 있다. 살기 위해 열심히 일하고, 그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지은 죄는 신앙을 통해 회개하는, 보통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이 이런저런 상징물들과 함께 어우러져 표현된 것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영숙 집필자 소개

서양미술사를 전공했다. <그림수다>, <현대미술가들의 발칙한 저항>, <루브르와 오르세의 명화산책> 등 미술관련 서적을 20여 권 저술하여 대중이 미술에 쉽게 접..펼쳐보기

출처

루브르 박물관에서 꼭 봐야 할 그림
루브르 박물관에서 꼭 봐야 할 그림 | 저자김영숙 | cp명휴머니스트 도서 소개

한 해 동안 전 세계 미술관 중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곳! 루브르 박물관은 무려 38만 점이 넘는 작품을 소장하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박물관이다. 루브르..펼쳐보기

전체목차
드농관(Denon) 산드로 보티첼리 〈자유 학예 모임 앞의 젊은 남자〉 프라 안젤리코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 산드로 보티첼리 〈세례 요한과 함께하는 성모자〉 조토 디 본도네 〈오상을 받는 성 프란체스코〉 귀도 다 시에나 〈예수의 탄생과 성전에의 봉헌〉 피사넬로 〈젊은 공주의 초상화〉 외 안토넬로 다 메시나 〈남자의 초상〉 외 조반니 벨리니 〈십자가 처형〉 안드레아 만테냐 〈성 세바스티아누스〉 도메니코 기를란다요 〈노인과 소년〉 외 베르나르디노 루이니 〈세례 요한의 머리를 건네받는 살로메〉 외 라파엘로 또는 조반니 프란체스코 펜니 〈베일을 잡고 있는 성모〉 라파엘로 〈세례 요한과 함께 있는 성모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 〈페로니에르를 한 아름다운 여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 〈성 안나와 함께 있는 성모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 〈세례 요한〉 외 레오나르도 다 빈치 〈모나리자〉 틴토레토 〈자화상〉 틴토레토 〈수산나와 장로들〉 파올로 베로네제 〈가나의 혼인 잔치〉 도소 도시 〈체사레 보르자의 초상화〉 티치아노 〈그리스도의 매장〉 외 티치아노와 조르조네 〈전원의 합주곡〉 티치아노 〈프랑수아 1세의 초상화〉 외 주세페 아르침볼도 〈봄, 여름, 가을, 겨울〉 폰토르모 〈성 안나와 함께 있는 성모자〉 로소 피오렌티노 〈피에타〉 카라바조 〈성모의 죽음〉 안니발레 카라치 〈성 프란체스코와 막달라 마리아가 함께하는 피에타〉 귀도 레니 〈이 사람을 보라〉 외 게르치노 〈성 베드로의 눈물〉 외 조반니 파올로 판니니 〈고대 로마 풍경이 있는 화랑〉 외 조슈아 레이놀즈 경 〈헤어 도련님〉 토머스 게인즈버러 〈공원에서의 대화〉 조지프 말로드 윌리엄 터너 〈멀리 만이 보이는 강가의 풍경〉 자크 루이 다비드 〈호라티우스 형제들의 맹세〉 외 자크 루이 다비드 〈나폴레옹 황제의 대관식〉 외젠 들라크루아 〈사르다나팔루스의 죽음〉 외 테오도르 제리코 〈메두사호의 뗏목〉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대부업자와 그의 부인〉루브르 박물관에서 꼭 봐야 할 그림, 김영숙, 휴머니스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